맨위로가기

일본국유철도 211계 전동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국유철도 211계 전동차는 1985년부터 일본국유철도(국철)에서 개발되어 JR 동일본, JR 도카이, JR 서일본에서 운행된 직류 근교형 전동차이다. 111·113계 및 115계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경량 스테인리스 차체, 볼스터리스 대차, 계자첨가 여자제어, 전기지령식 제동 등의 신기술이 적용되었다. 0번대, 1000번대, 2000번대, 3000번대, 5000번대, 6000번대, 조이풀 트레인 등 다양한 형식으로 제작되었으며, JR 동일본에서는 도카이도선, 다카사키선 등에서, JR 도카이에서는 도카이도 본선 등에서, JR 서일본에서는 슈퍼 살롱 유메지 등에서 운용되었다. 2020년대에 들어서는 JR 도카이에서 315계로의 교체가 진행되어 운행이 종료되었으며, JR 동일본에서는 나가노 지구 등에서 운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카이 여객철도의 철도 차량 - 신칸센 700계 전동차
    도카이도·산요 신칸센의 고속화를 위해 JR 도카이와 JR 서일본이 공동 개발한 신칸센 700계 전동차는 0계 및 100계 전동차를 대체하여 1999년부터 최고 속도 285km/h로 운행되었으며, 노조미, 히카리, 히카리 레일스타 등으로 운행된 다양한 모델이 있다.
  • 도카이 여객철도의 철도 차량 - 신칸센 N700계 전동차
    신칸센 N700계 전동차는 JR 도카이와 JR 서일본이 공동 개발하여 도카이도·산요 신칸센의 수송력 증강과 속도 향상을 목표로 틸팅 시스템을 통해 곡선 구간에서의 속도 저하를 최소화하고 승차감을 개선한 고속철도 차량으로, 최고 영업 속도 300km/h로 노조미, 히카리, 코다마 등 다양한 등급으로 운행되며 산요·규슈 신칸센 직통 운행을 위한 8량 편성 모델도 존재한다.
  •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 차량 - 신칸센 700계 전동차
    도카이도·산요 신칸센의 고속화를 위해 JR 도카이와 JR 서일본이 공동 개발한 신칸센 700계 전동차는 0계 및 100계 전동차를 대체하여 1999년부터 최고 속도 285km/h로 운행되었으며, 노조미, 히카리, 히카리 레일스타 등으로 운행된 다양한 모델이 있다.
  •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 차량 - 신칸센 500계 전동차
    신칸센 500계 전동차는 서일본여객철도가 개발한 최고 속도 300km/h의 신칸센 차량으로, 독특한 공기역학적 디자인과 원통형 차체가 특징이며, 현재는 코다마 등급으로 운행되거나 특별 테마 열차 및 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 일본국유철도의 철도 차량 - 일본국유철도 C51형 증기 기관차
    일본국유철도 C51형 증기 기관차는 일본 최초의 퍼시픽형 축 배치를 채용한 여객용 증기 기관차로, 1919년부터 1928년까지 289량이 제작되어 도카이도 본선 등에서 활약했으며, 일부는 중국으로 공출, 현재 4량이 철도 박물관 등에 보존되고 있다.
  • 일본국유철도의 철도 차량 - 일본국유철도 185계 전동차
    일본국유철도 185계 전동차는 국철 최초로 특급과 통근용으로 모두 사용 가능하도록 개발되어 1981년 도카이도 본선에 투입, 여러 노선에서 운행되다 2021년 정기 운행을 종료하고 일부가 보존되었다.
일본국유철도 211계 전동차
기본 정보
2021년 1월 조에쓰 선에서 운행 중인 JR 동일본 211계 전동차
2021년 1월 조에쓰 선에서 운행 중인 JR 동일본 211계 전동차
개요
종류전동차
노선JR 동일본
JR 도카이
JR 서일본
미래: 산기 철도
대체111계, 113계 전동차, 115계 전동차
후계209계 전동차, E233-3000계, 315계 전동차 (2025년부터)
제조업체히타치 제작소
가와사키 중공업
긴키 차량
일본차량제조
도큐 차량
제작 연도1985년–1991년
운행 시작1986년 3월
퇴역 시작2012년–
총 제작 차량 수1,914량
운행 차량 수849량 (2018년 기준)
차체스테인리스강
강철 (JR 서일본 버전)
차량 길이20,000 mm
차량 폭2,966 mm
한쪽 면당 3개
최대 속도120 km/h (JR 서일본)
110 km/h (기타)
가속도1.7 km/h/s
견인저항 제어 + 필드 시스템 중첩 필드 여자 제어
견인 전동기MT61 (211-0/1000/2000/3000계)
C-MT61A/C-MT64A (211-5000/6000계)
전력 출력120 kW
전력 공급1,500 V DC 가공 전차선
집전 방식팬터그래프
대차DT50B (동력차), TR235B (부수차) (211-0/1000/2000/3000계)
TR235G (SaRo 213/SaRo 212)
C-DT56 (동력차), C-TR241 (부수차) (211-5000/6000계)
WDT50B (KuMoRo 211/MoRo 210)
복수 열차 운행311계/313계
기술 정보
제어 방식저항 제어, 직병렬 조합 제어, 약계자 제어, 계자 첨가 여자 제어
제동 장치전기 지령식 (직통, 회생, 억속)
직통 예비 제동
내설 제동
설계 최고 속도110km/h (초기 제조 시)
120km/h (개조차 및 후기차)
기동 가속도1.7 km/h/s (MT비 2:3 시) - 2.5 km/h/s (MT비 2:1 시)
상용 감속도3.5 km/h/s

2. 개발 배경 및 특징

211계는 국철이 111·113계와 115계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한 직류 근교형 전동차이다. 211계는 에너지 절약과 유지보수 비용 절감을 위해 다양한 신기술을 채택했다.

211계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경량 스테인리스 차체
  • 볼스터리스 대차
  • 계자 첨가 여자 제어 (기본적으로 저항 제어를 사용하며,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보다 간단하고 저렴하게 회생 제동 가능)
  • 전기 지령식 브레이크
  • 간이 모니터 장치


이 기술들은 통근형 전동차인 205계에 먼저 채용되었으나, 원래는 근교형 전동차용으로 개발되었다.

211계는 1유닛당 력행 성능을 높여 전동차 비율을 낮추었다. 2M3T 편성으로 25‰의 경사에서도 통상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신조 및 운용 비용 절감을 목표로 했다.

차체는 측면 3도어, 차량 단부 양단에 출입문이 있는 국철 근교형 전동차의 기본 구성을 따르지만, 양단 출입문 위치를 약간 차단부 쪽으로 배치했다. 좌석은 세미 크로스시트 외에 장거리 통근 증가에 따른 혼잡에 대응하기 위해 올 롱시트 차량도 제조되었다. 크로스시트와 롱시트 모두 버킷 형태로 제작되었고, 롱시트 1인분 폭을 확장했다. 크로스시트는 시트 간격(1,490mm)을 유지하면서 공간과 통로 폭을 넓혔다. 세미 크로스시트 차량도 혼잡 완화를 위해 차량 단부는 롱시트로 했다.

국철 시대에는 부속 편성만 올 롱시트로 제작되었으나, 국철 분할 민영화 이후 증비차는 모두 롱시트가 기본이 되었다. 차체 구조와 대차는 같은 시기에 제조된 415계 1500번대에도 채용되었다.[84]

2. 1. 개발 배경

국철은 1962년부터 20년 이상 111·113계와 115계를 근교형 전동차로 제조해왔다. 211계는 이들을 대체하기 위한 풀 모델 체인지 차량으로, 노후화된 111·113계·115계를 대체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84]

211계에는 에너지 절약 및 유지보수 비용 절감을 위한 여러 신기술이 적용되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경량 스테인리스제 차체
  • 간단한 구조의 볼스터리스 대차
  •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보다 간단하고 저렴한 회생 제동이 가능한 계자 첨가 여자 제어 방식 (기본적으로 저항 제어 사용)
  • 응답성이 높은 전기 지령식 브레이크
  • 간이 모니터 장치


이러한 기술들은 통근형 전동차인 205계에 먼저 채용되었으나, 본래는 근교형 전동차를 위해 개발된 시스템이었다.[84] 이 시스템은 민영화 이후 JR의 신형 차량에도 다수 채용되었다.

211계는 1유닛당 력행 성능을 향상시켜 전동차 비율을 낮추었다. 2M3T 편성으로 25‰ 경사에서도 통상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신조 및 운용 비용 절감을 목표로 했다. 이로 인해 2M3T 편성은 113계·115계의 2M2T 편성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주행 성능을 확보했다.[7]

차체 측면에는 3개의 출입문이 있고, 차량 단부 양쪽 끝에도 출입문이 있는 국철 근교형 전동차의 기본적인 구성을 따랐다. 다만, 양쪽 끝 출입문 위치를 약간 차단부 쪽으로 배치했다. 113계(온난지·평탄선용)와 115계(한랭지·구배선용)를 통합하여 세부 사양 변경을 통해 두 계열 모두 대체할 수 있도록 했다.

좌석은 기존의 세미 크로스시트 외에도 장거리 통근 증가에 따른 혼잡에 대응하기 위해 완전 롱시트 차량도 제조되었다. 크로스시트와 롱시트 모두 버킷 형태로 제작되었고, 롱시트 1인분 폭을 확장했다. 크로스시트는 시트 간격(1,490mm)을 유지하면서 공간과 통로 폭을 넓혔다. 세미 크로스시트 차량도 혼잡 완화를 위해 차량 단부는 롱시트로 만들었다.

국철 시대에는 부속 편성만 완전 롱시트로 제작되었으나, 국철 분할 민영화 이후 증비차는 모두 롱시트가 기본이 되었다. 차체 구조와 대차는 같은 시기에 제조된 415계 1500번대에도 채용되었으며, 민영화 이후에도 차체나 제어 시스템 설계를 활용한 차량이 등장하였다.[84]

국철 시대에는 수도권에 250량, 나고야 지역에 8량, 총 258량이 제조되었으며,[8] 국철 분할 민영화 시에는 전자는 JR 동일본에, 후자는 JR 도카이에 인계되었다.[8] 분할 민영화 후에는 JR 동일본에서 325량, JR 도카이에서 242량, JR 서일본에서 2량, 총 569량이 제조되어[8] 총 827량이 제조되었다.[8] 그 후, JR 동일본에서는 도카이도선 113계의 편성에 삽입된 2층 그린차(사로 124형·사로 125형) 34량이 본 계열에 편입되었다.

2. 2. 주요 특징

일본국유철도에서 낡은 113계 및 115계 열차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211계는 회생 제동과 스테인리스강 차체 구조를 채택했다.[84]

111·113계·115계를 대체하는 근교형 전동차로 개발되었다. 경량 스테인리스제 차체나 구조가 간단한 볼스터리스 대차,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보다 간단하고 저렴하게 회생 제동이 가능하며 저항 제어를 기본으로 한 계자 첨가 여자 제어, 응답성이 높은 전기 지령식 브레이크, 간이적인 모니터 장치 등, 에너지 절약이나 보수 비용 절감에 배려한 새로운 기법이 각처에 채용되었다. 이것들은 통근형 전동차인 205계에서 먼저 채용되었지만, 본래는 '차기 근교형 전동차'를 염두에 두고 개발된 시스템이다.[84]

1유닛당 력행 성능의 향상으로, 전동차 비율을 낮추고, 2M3T 편성으로 25 ‰까지의 구배에서도 통상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신제 비용이나 운용 비용의 절감을 노린 설계로 했다. 이에 따라 2M3T 편성에서도 113계·115계의 2M2T 편성와 동등 이상의 주행 성능을 가진다.[7]

차체는 측면 3도어나 차량 단부 양단에 출입문을 탑재한 국철 근교형 전동차의 기본적 구성이지만, 양단의 측면 출입문 위치를 약간 차단부쪽으로 대는 배치로 하고 있다. 온난지·평탄선용의 113계와 한랭지·구배선용의 115계를 통합하여 세부의 사양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양계열의 교체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좌석은 종래와 같은 세미 크로스시트 외에 장거리 통근의 증가에 수반한 혼잡에 대응하기 위해 올 롱시트의 차량도 제조되었다. 크로스시트·롱시트 모두 버킷 형태로 하여 롱시트의 1인분의 폭을 확장하였다. 크로스시트는 시트피치 1,490mm인 채로 공간과 통로폭을 확장하였다. 또한 세미 크로스시트차도 혼잡 완화 때문에 415계 700번대 같이 차량 단부는 롱시트로 했다.

3. 기술적 특징

211계는 111·113계와 115계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일본국유철도의 직류 근교형 전동차이다. 205계에서 먼저 채용된 기술들을 바탕으로 에너지 절약 및 유지보수 비용 절감을 목표로 설계되었다.

MM' 유닛 차량의 주전동기는 MT61형으로 713계 전용으로 개발된 것을 사용하였다. 정격 출력은 기존에 통용되던 MT54형과 같지만, 저회전 영역의 토크를 강화하고 기존 근교형 전동차보다 큰 기어비를 채용하여 정격 속도를 113계·115계보다 6.5km/h 낮은 46.0km/h로 하였다. 반면 유닛의 인장력은 6,690kg에서 7,580kg으로 증가하였다. 한편으로 허용 회전수를 올려 최약 계자율을 35%로 상승시켜 고속성능을 확보했다. 2M3T 편성에서도 113계·115계의 2M2T 편성과 동등한 주행 성능을 확보한 것은 이 때문이다.

1M 방식차의 주전동기는 MT64형으로 정격 단자전압이 MT61형의 2배인 750V, 정격 전류가 절반인 180A로 되어 있지만, 속도 특성은 MT61형과 유사하다. 이 시스템은 이후 213계용으로 처음 채용되었지만, 본래는 211계의 요코스카·소부 쾌속선 투입을 구상했을 당시 2M3T에서 부족한 주행 성능과 동력차 비율 증가에 따른 비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처음부터 MM' 유닛 방식과의 혼용이 계획되었다.

주제어기는 205계의 CS57형에 억속 제동 기능을 추가한 CS57A형이다. 억속 제동은 40km/h 이상에서 작동한다[85].

전기 제동은 계자 첨가 여자 장치를 이용하여 회생제동을 실시한다. 고속에서는 계자전류를 약화시키고 주회로 전류를 강하게 하여 속도가 저하됨에 따라 계자전류를 강화하면서 주회로 전류를 줄여 일정한 회생 제동력을 확보한다. 78km/h 이상에서 제동을 걸 때는 전동기는 병렬 연결로, 그 이하에서는 직렬 연결로 회생 제동을 시작한다. 병렬 연결로 시작했을 경우는 60km/h 전후로 직렬 연결로 전환되는데, 전환 시 단자전압을 갑자기 반으로 줄일 수 없기 때문에 저항을 삽입하면서 회로를 전환하고 그 후 저항이 제거된다.

저속에서는 계자전류를 강하게 해도 회생 전압이 가선 전압보다 낮아지기 때문에 30km/h 전후에서 회생제동이 실효된다.

운전대는 데스크형으로, 가로축의 마스콘 핸들과 세로축의 브레이크 핸들을 배치한 2핸들 방식이다[13].

3. 1. 차체

111·113계와 115계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일본국유철도의 직류 근교형 전동차인 211계는, 205계에서 먼저 채용된 기술들을 바탕으로 에너지 절약 및 유지보수 비용 절감을 목표로 설계되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경량 스테인리스 차체: 측면 3도어, 차량 단부 양단 출입문 구조를 기본으로 하며, 양단 출입문 위치를 차단부 쪽으로 약간 옮긴 배치를 통해 승객의 승하차 효율을 높였다.
  • 확장된 차체 폭: 기존 차량의 2,900mm에서 2,950mm로 확대하여 실내 공간을 넓혔다.
  • 좌석 배치: 장거리 통근 증가에 따른 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세미 크로스시트와 올 롱시트 차량을 모두 제조하였다.
  • 버킷형 좌석: 크로스시트와 롱시트 모두 버킷 형태로 제작하여 착석감을 향상시켰다.
  • 넓어진 롱시트: 1인당 폭을 확장하여 쾌적함을 높였다.
  • 크로스시트 공간 확장: 시트피치(1,490mm)를 유지하면서 공간과 통로 폭을 넓혔다.
  • 차량 단부 롱시트: 세미 크로스시트 차량도 혼잡 완화를 위해 차량 단부는 롱시트로 설계했다.


전면 형상은 관통형으로, 205계와 유사하게 창 주위를 검은색으로 도장했다. 하지만 205계와 달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를 전체적으로 사용하여 흰색 FRP 부재로 덮어 경쾌한 인상을 주었다. 이러한 전면 형상은 415계 1500번대 등 이후의 신형 차량에도 채용되었다.[10]

국철 분할 민영화 이전에는 부속 편성만 올 롱시트로 제작되었으나, 이후 증비차는 모두 올 롱시트를 기본으로 채택하였다. 또한, 차체 구조와 대차는 같은 시기에 제조된 415계 1500번대에도 채용되었으며, 민영화 이후에도 차체 및 제어 시스템 설계를 활용한 차량이 등장하였다.[84]

3. 2. 실내

211계는 기존의 111·113계와 115계를 대체하기 위해 풀 모델 체인지된 차량이다. 경량 스테인리스 차체, 볼스터리스 대차, 전기자 초퍼 제어보다 저렴한 계자첨가 여자제어, 응답성이 높은 전기지령식 제동, 간이 모니터 장치 등 에너지 절약 및 유지보수 비용 절감을 위한 신기술이 적용되었다. 이러한 기술들은 205계에서 먼저 채용되었지만, 원래는 근교형 전동차용으로 개발된 시스템이었다.

차체는 측면 3도어, 차량 단부 양단에 출입문을 갖춘 국철 근교형 전동차의 기본 구성을 따르면서도, 양단 측면 출입문 위치를 약간 차단부 쪽으로 옮긴 배치를 하고 있다. 좌석은 세미 크로스시트와 장거리 통근 증가에 따른 혼잡에 대응하기 위한 롱시트 차량이 모두 제조되었다. 크로스시트와 롱시트 모두 버킷 형태로 제작되었고, 롱시트의 1인분 폭을 확장하였다. 크로스시트는 시트피치 1,490mm를 유지하면서 공간과 통로폭을 넓혔다. 세미 크로스시트 차량도 혼잡 완화를 위해 차량 단부는 롱시트로 제작되었다.

국철 (현 JR) 시대에는 부속 편성만 올 롱시트로 등장했으나, 국철 분할 민영화 이후 증비차는 모두 올 롱시트가 기본이 되었다. 또한 차체 구조와 대차는 같은 시기에 제조된 415계 1500번대에도 채용되었으며, 민영화 후에도 차체나 제어 시스템 설계를 활용한 차량이 등장하였다.[84]

구분0번대2000번대
좌석 배치세미 크로스시트제어차 화장실 맞은편 제외 롱시트



도쿄 지구에는 0·2000번대가 투입되었다. 국철 시대에는 도카이도 본선 도쿄지구용 그린차(1등차) 2량 조성의 0번대 10량 6편성과 2000번대 5량 5편성이 제조되어 다마치 전차구(현 다마치 차량센터)에 배치되었다.

그린차는 화장실과 세면소만 탑재한 사로 211형과 전무 차장실만 탑재한 사로 210형으로 나누어 제조하여 함께 편성하여 운용하였다. 좌석폭을 넓히고 등받이는 프리스톱식으로 하여 경사 각도를 기존보다 약간 크게 했다. 2층 그린차 등장 이후에는 배면 테이블, 중간 기둥, 입석 승객용 난간이 추가되었다.

도입 당시에는 특정 구간 외에서 흡연이 가능했기 때문에 롱시트차를 포함한 각 차량에 재떨이가 설치되었다. 그러나 전 차량 금연이 된 현재 재떨이는 철거되었다. 2층 그린차는 처음부터 금연차로 등장하여 재떨이가 설치되지 않았다.

JR 동일본에서는 1989년부터 1991년까지 기본 편성 8개, 부속 편성 9개를 증비했다. 롱시트차는 부속 편성뿐이었지만, 기본 편성도 롱시트의 2000번대로 지정되었다. 그린차는 2층의 사로 213·212형으로 변경되었다.

좌석은 0·1000번대가 세미 크로스 시트를 채용했지만, 장거리 통근객 증가에 따른 혼잡에 대응하기 위해 올 롱 시트의 2000·3000·5000·6000번대가 제조되었다. 크로스 시트, 롱 시트 모두 버킷 타입으로, 크로스 시트는 시트 피치 1,490 mm를 유지하면서 공간과 통로 폭을 넓혔고, 롱 시트는 1인당 폭을 넓혔다. 또한, 세미 크로스 시트 차량도 혼잡 완화를 위해 415계 700번대와 마찬가지로 차단부를 롱 시트로 했다.

국철 시대에는 부속 편성이 올 롱 시트였지만, 국철 분할 민영화 이후의 증비차는 올 롱 시트가 기본이 되었다.

3. 3. 기기

일본국유철도는 113계 및 115계 열차를 대체하기 위해 211계를 개발했다. 211계는 회생 제동과 스테인리스강 차체 구조를 채택했다. 노후화된 111계·113계·115계를 대체하는 근교형 전동차의 풀 모델 체인지 차량으로, 이들 계열의 교체를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경량 스테인리스제 차체나 구조가 간단한 볼스터리스 대차,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보다 간단하고 저렴하게 회생 제동이 가능하며 저항 제어를 기본으로 한 계자 첨가 여자 제어, 응답성이 높은 전기 지령식 브레이크, 간이 모니터 장치 등, 에너지 절약이나 보수 비용 절감에 배려한 새로운 기법이 각처에 채용되었다. 이러한 기술은 결과적으로 통근형 전동차인 205계에서 먼저 채용되었지만, 본래는 '차기 근교형 전동차'를 염두에 두고 개발된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민영화 후의 JR 신형 차량에도 다수 채용되고 있다.

1유닛당 력행 성능을 향상시켜 전동차 비율을 낮추고, 2M3T 편성으로 25‰ 경사에서도 통상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신조 비용이나 운용 비용 절감을 꾀했다. 이에 따라 2M3T 편성에서도 113계·115계의 2M2T 편성과 동등 이상의 주행 성능을 가진다.[7]

MM' 유닛 차량의 주전동기는 120kW급 MT61형이 채용되었다.[11] 성능은 375V·360A, 전계자 정격 회전수 1,540rpm, 35% 계자 정격 회전수 3,080rpm이다. 이것은 713계용으로 개발된 것을 사용하고 있다.

MT61형의 정격 출력은 기존의 MT54형과 같지만, 저회전 영역의 토크를 381계용 MT58보다 강화(MT54와 MT58의 중간 특성)했으며, 기존의 근교형 전동차보다 큰 기어비를 채용하여 정격 속도를 113계·115계보다 6.5km/h 낮은 46.0km/h로 했다. 반면 유닛당 견인력은 6,690kgf에서 7,580kgf로 10% 이상 커졌다. 한편, 허용 회전수를 높여 최약 계자율을 35%까지 사용하여 고속 성능을 확보했다. 2M3T 편성에서도 113계·115계의 2M2T 편성을 능가하는 주행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1M 방식(비MM' 유닛 차량) 차량의 주전동기는 MT64형으로, 정격 단자 전압이 MT61형의 2배인 750V, 정격 전류가 절반인 180A로 되어 있지만, 속도 특성은 최대한 MT61형에 맞춰져 있다. 이 시스템은 후에 213계용으로 처음 채용되었지만, 본래는 본 계열의 요코스카·소부 쾌속선 투입을 구상했을 때, MT비 2:3(15량 편성 시 6M9T)으로는 부족한 주행 성능과 전동차를 늘리는 비용을 균형있게 조절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처음부터 MM' 유닛 방식과의 혼용이 상정되어 있었다.

주 제어기는 205계의 CS57형에 억속 브레이크 기능을 추가한 CS57A형이다. 억속 브레이크는 40km/h 이상에서 작동한다.[12]

전기 브레이크는 첨가 여자 장치를 사용하여 회생 브레이크를 작동시킨다. 고속 영역에서는 계자 전류를 약하게, 주 회로 전류를 강하게 하고, 속도가 낮아짐에 따라 계자 전류를 강하게 하면서 주 회로 전류를 줄이는 방식으로 일정 회생 브레이크력을 확보한다. 78km/h 이상에서 브레이크를 걸 때는 전동기는 병렬 연결로, 그 이하에서는 직렬 연결로 회생 브레이크를 시작한다. 병렬 연결로 시작한 경우에는 60km/h 부근에서 직렬 연결로 전환하지만, 전환 시에 단자 전압을 갑자기 반으로 줄일 수는 없기 때문에 저항을 삽입하면서 회로를 전환하고, 그 후 저항이 빠진다.

저속에서는 계자 전류를 강하게 해도 회생 전압이 가선 전압보다 낮아지기 때문에, 30km/h 부근에서 회생 브레이크가 실효된다.

운전대는 데스크형으로, 가로축의 마스콘 핸들과 세로축의 브레이크 핸들을 배치한 2핸들 방식이다.[13]

4. 형식

211계는 111·113계 및 115계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직류 근교형 전동차이다. 205계에서 먼저 채택된 경량 스테인리스 차체, 볼스터리스 대차, 계자첨가 여자제어, 전기지령식 제동, 간이 모니터 장치 등 다양한 신기술을 적용하여 에너지 절약 및 유지보수 비용 절감을 꾀했다.[84]

차체는 측면 3도어, 차량 양 끝에 출입문을 배치한 국철 근교형 전동차의 기본 구성을 따르면서도, 양 끝 출입문 위치를 차체 중앙 쪽으로 약간 옮긴 것이 특징이다. 좌석은 세미 크로스시트와 롱시트 두 가지 종류가 있으며, 롱시트는 1인당 좌석 폭을 넓힌 버킷 형태로 제작되었다.

차량 형식은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 아래 표에서 '홀수'는 도쿄 방면, '짝수'는 고베 방면을 의미한다.

형식설명
쿠모하 211형(Mc)홀수 방향 선두 제어 전동차. 모하 210형과 유닛을 이루며, 팬터그래프, 주전동기, 주제어기를 탑재한다.
모하 211형(M)모하 210형과 유닛을 이루는 중간 전동차. 팬터그래프, 주전동기, 주제어기를 탑재한다. (0·2000번대만 존재)
모하 210형(M')쿠모하 211형 또는 모하 211형과 유닛을 이루는 중간 전동차. 전동 발전기(MG) 또는 DC-DC 컨버터(5000번대)와 공기압축기(CP)를 탑재한다.
쿠하 211형(Tc)홀수 방향 선두 제어차. 연결면 가까운 쪽에 화장실이 있고 맞은편은 크로스시트이다. (0·2000번대만 존재)
쿠하 210형(Tc')짝수 방향 선두 제어차. 연결면 가까운 쪽에 화장실이 있다. (5000번대는 화장실 없음)
사하 211형(T)중간 부수차(보통차).
사로 211형(Ts)중간 부수차(그린차). 짝수 방향에 화장실, 세면소가 있고, 마루 밑에 물탱크가 있다. 초기에는 사로 210형과, 민영화 이후에는 사로 212형과 유닛을 이룬다.
사로 210형(Ts')중간 부수차(1등차). 홀수 방향에 차장실과 승무원실이 있다. 초기에는 사로 211형과, 민영화 이후에는 사로 213형과 유닛을 이룬다.



0번대 그린차 4형식(사로 211형, 사로 212형, 사로 210형, 사로 213형)은 이후 전용 개조를 거쳐 1000번대로 변경되었으며, 그린차 Suica 시스템 도입에 따라 좌석 위에 카드 리더기(R/W)가 설치되었다.


  • 사로 211형 1000번대・사로 212형 1000번대: 도카이도 본선용 211계 0번대 그린차를 한랭지 사양으로 개조한 차량이다. 출입문 부근 반자동 스위치가 특징이다.
  • 번호 신구 대조 (2007년 4월 1일 기준):
  • 사로 211/사로 212-1 - 6 → 사로 211/사로 212-1001 - 1006
  • 사로 210형 1000번대・사로 213형 1000번대: 사로 211형 1000번대・사로 212형 1000번대와 마찬가지로, 도카이도 본선용 211계 0번대 그린차를 개조한 차량이다. 4호차에 2층 그린차를 연결하기 위해 양 차량 모두 방향을 전환한 채로 전용되었다.
  • 번호 신구 대조 (2007년 4월 1일 기준):
  • 사로 210/사로 213-1 - 6 → 사로 210/사로 213-1001 - 1006


또한, 113계의 2층 그린차였던 사로 124형과 사로 125형을 211계로 개조 편입하면서, 제동 방식을 211계에 맞게 변경하고 그린차 Suica 시스템 리더기를 설치하였다.

  • 사로 213형 100번대・사로 212형 100번대: 사로 125형 4량과 사로 124형 20량을 개조한 차량이다. 측면 행선 표시기가 LED로 변경되었다.
  • 신구 번호 대조 (2007년 4월 1일 기준):
  • 사로 125-1・2・3・5 → 사로 213-101・102・103・105
  • 사로 124-6・7・8・※9・※14・16・17・18 → 사로 213-106・107・108・※109・※114・116・117・118
  • 사로 124-1・3・5・※10・15・23・24・※25・※26・※27・※28・※29 → 사로212-101・103・105・※110・115・123・124・※125・※126・※127・※128・※129
  • ※는 원 오후나 전차구(현 가마쿠라 차량센터) 소속으로, 소부 쾌속·요코스카선에서 운행되다 1996년 고즈 차량센터로 전속된 차량이다.
  • 일부 차량(차호가 이탤릭체로 표시된 사로 124-1·3·5·6·7·8)은 TR69형 볼스터 대차를 그대로 사용한다.

  • 사로 213형 1100번대・사로 212형 1100번대: 사로 125형 1량과 사로 124형 9량을 개조한 차량이다. 전 차량 한랭지 사양으로 개조되었으며, 측면 행선 표시기는 LED이지만 주행 중 소등 기능은 없다.
  • 번호 신구 대조 (2007년 4월 1일 기준):
  • 사로 125-4 → 사로 213-1104
  • 사로 124-2・※12・20・22 → 사로 213-1102・※1112・1120・1122
  • 사로 124-4・※11・※13・19・21 → 사로 212-1104・※1111・※1113・1119・1121
  • ※는 100번대와 동일.
  • 일부 차량(차호가 이탤릭체로 표시된 사로 124-2·4)은 TR69형 볼스터 대차를 그대로 사용하며, 요코스카선 출신 차량(※ 표시)은 컬러 시트가 부착되지 않았다.

4. 1. 국철 시대 제조 형식

111·113계와 115계를 대체하기 위한 풀 모델 체인지 차량으로, 경량 스테인리스제 차체와 간편한 구조의 볼스터리스 대차, 계자첨가 여자제어 방식, 응답성이 높은 전기지령식 제동, 간이 모니터 장치 등 에너지 절약 및 유지보수 비용 절감을 위한 신기술이 채택되었다. 이러한 기술들은 205계에서 먼저 채용되었으나, 본래 근교형 전동차용 시스템으로 개발되었다.[84]

차체는 측면 3도어, 차량 단부 양단에 출입문을 탑재한 국철 근교형 전동차의 기본 구성을 따르면서도, 양단 측면 출입문 위치를 차단부 쪽으로 약간 옮긴 배치를 하고 있다. 113계(온난지·평탄선용)와 115계(한랭지·구배선용)를 통합하여 세부 사양 변경을 통해 양 계열 교체에 대응했다. 좌석은 세미 크로스시트 외에 장거리 통근 증가에 따른 혼잡 대응을 위해 올 롱시트 차량도 제조되었다. 크로스시트와 롱시트 모두 버킷 형태로, 롱시트 1인분 폭을 확장했다. 크로스시트는 시트피치 1,490mm를 유지하며 공간과 통로폭을 넓혔고, 세미 크로스시트 차량도 혼잡 완화를 위해 차량 단부는 롱시트로 했다.

국철 시대에는 부속 편성만이 올 롱시트로 등장했으나, 국철 분할 민영화 이후 증비차는 모두 올 롱시트가 기본이었다. 차체 구조와 대차는 같은 시기에 제조된 415계 1500번대에도 채용되었으며, 민영화 후에도 차체나 제어 시스템 설계를 활용한 차량이 등장하였다.[84]

차량 번호는 과거 관례에 따라 도카이도 본선 기준으로 도쿄역 방면을 홀수(북, 동), 고베역 방면을 짝수(남, 서) 방향으로 한다.

  • 쿠모하 211형(Mc): 홀수 방향 선두 제어 전동차로, 모하 210형과 유닛을 구성하며 팬터그래프, 주전동기, 주제어기를 탑재한다. 내장 및 탑재 설비에 따라 번대 구분이 있다.
  • 모하 211형(M): 모하 210형과 유닛을 구성하는 중간 전동차로, 팬터그래프, 주전동기, 주제어기를 탑재한다. 0·2000번대만 존재한다.
  • 모하 210형(M'): 쿠모하 211형 또는 모하 211형과 유닛을 구성하는 중간 전동차로, 전동 발전기(MG)와 공기압축기(CP)를 탑재한다. 내장 및 탑재 설비에 따라 번대 구분이 있다.
  • 쿠하 211형(Tc): 홀수 방향 선두 제어차로, 연결면 가까운 3위 측에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고, 맞은편 좌석은 크로스시트이다. 0·2000번대만 존재한다.
  • 쿠하 210형(Tc'): 짝수 방향 선두 제어차로, 연결면 가까운 3위 측에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고, 맞은편 좌석은 크로스시트이다. 내장 및 탑재 설비에 따라 번대 구분이 있다.
  • 사하 211형(T): 중간 부수차(보통차)로, 내장 및 탑재 설비에 따라 번대 구분이 있다. 본 계열 중 가장 많이 제조되었다.
  • 사로 211형(Ts): 중간 부수차(그린차)로, 짝수 방향에 화장실, 세면소가 설치되어 있고, 마루 밑에 물탱크가 있다. 초기에는 사로 210형과 유닛을 구성했다.
  • 사로 210형(Ts'): 중간 부수차(1등차)로, 홀수 방향에 차장실과 승무원실이 설치되어 있다. 초기에는 사로 211형과 유닛을 구성했다.


이후 서술할 전용 개조로 0번대 그린차 4형식이 개조되었다. 이 차량들에는 모두 그린차 Suica 시스템 도입에 따른 R/W(리더/라이터)가 좌석 위에 설치되었다.

  • 사로 211형 1000번대·사로 212형 1000번대: 도카이도 본선용 211계 0번대 그린차에서 개조된 차량으로, 한랭지 사양으로 개조되어 원번호+1000번대로 변경되었다. 출입문 부근 반자동 스위치 설치가 외관상 특징이다.
  • 번호 신구 대조 (2007년 4월 1일 기준):
  • 사로 211/사로 212-1 - 6 → 사로 211/사로 212-1001 - 1006
  • 사로 210형 1000번대・사로 213형 1000번대: 사로 211형 1000번대・사로 212형 1000번대와 같이 도카이도 본선용 211계 0번대 그린차에서 개조되었다. 전용처에서도 4호차에 2층 그린차를 편성하기 위해, 2층 그린차를 조성할 때 양 차량 모두 방향 전환된 상태로 전용되었다.
  • 번호 신구 대조 (2007년 4월 1일 기준):
  • 사로 210/사로 213-1 - 6 → 사로 210/사로 213-1001 - 1006


이후 서술할 치환 및 전용으로 113계 2층 그린차 2형식이 211계로 개조 편입되었다. 제동 구조를 113계에서 211계의 것으로 변경하는 개조가 시행되었다. 이 차량들에도 모두 그린차 Suica 시스템 도입에 따른 리더/라이터가 좌석 위에 설치되었다.

  • 사로 213형 100번대・사로 212형 100번대: 사로 125형 4량과 사로 124형 20량에서 개조되었다. 사로 125형 4량은 정방향으로 방향 전환하여 사로 213형으로, 사로 124형 중 8량은 방향 전환 후 차장실에 화장실·세면소를 설치하여 사로 213형으로, 나머지 12량은 사로 212형으로 개조되어 각 차원번호+100번대로 변경되었다. 측면 행선 표시기가 LED화되었다.
  • 신구 번호 대조 (2007년 4월 1일 기준):
  • 사로 125-1・2・3・5 → 사로 213-101・102・103・105
  • 사로 124-6・7・8・※9・※14・16・17・18 → 사로 213-106・107・108・※109・※114・116・117・118
  • 사로 124-1・3・5・※10・15・23・24・※25・※26・※27・※28・※29 → 사로212-101・103・105・※110・115・123・124・※125・※126・※127・※128・※129
  • ※는 원 오후나 전차구(현 가마쿠라 차량센터) 소속 소부 쾌속·요코스카선용 사로 124형으로, 1996년 1월 - 3월에 고즈 전차구(현 고즈 차량센터)로 전속되어 신쇼난대(태대)가 된 차량이다.
  • 단기간에 개조를 시행하기 위해 차호를 이탤릭 문자로 표시한 사로 124-1·3·5·6·7·8로부터의 개조차는 대차를 TR69형으로 계속 장착하여, 211계 중 유일하게 볼스터 대차를 탑재한 차량이 되었다.

  • 사로 213형 1100번대・사로 212형 1100번대: 사로 125형 1량과 사로 124형 9량에서 개조되었다. 사로 125형 1량은 정방향으로 방향 전환하여 사로 213형으로, 사로 124형 4량은 방향 전환 후 차장실 부분에 화장실·세면소를 설치하여 사로 213형으로, 나머지 5량은 차장실을 남긴 채 사로 212형으로 개조되었다. 전 차량 한랭지 사양으로 개조(출입문 반자동 스위치 설치 등)도 시행되었으며, 각 차원번호+1100번대로 변경되었다. 측면 행선 표시기가 LED화되었지만, 주행 중 소등 기능은 없다.
  • 번호 신구 대조 (2007년 4월 1일 기준):
  • 사로 125-4 → 사로 213-1104
  • 사로 124-2・※12・20・22 → 사로 213-1102・※1112・1120・1122
  • 사로 124-4・※11・※13・19・21 → 사로 212-1104・※1111・※1113・1119・1121
  • ※는 100번대를 참조.
  • 차호를 이탤릭 문자로 표시한 사로 124-2·4로부터의 개조차는 대차를 볼스터 대차인 TR69형으로 계속 장착하고 있다. 컬러 시트 부착 방법이 다른 요코스카선 계통에서 전입한 차량(※가 붙은 차량)은 컬러 시트 부착이 실시되지 않았다.

4. 2. 민영화 이후 제조 형식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 이후, 여객철도 회사들은 각자의 필요에 맞춰 211계를 추가 제조하였다.

  • 쿠모하 211형(Mc)


: 홀수(북, 동)방향 맨 앞부분에 연결되는 제어 전동차로, 모하 210형과 유닛을 구성하며 팬터그래프, 주전동기, 주제어기를 탑재한다. 민영화 이후에는 5000번대 계열이 제조되었는데, 이 중 5600번대는 저단면 터널 통과를 위해 팬터그래프 부착부를 낮춘 지붕 구조로 하고 C-PS24A형 팬터그래프를 탑재했다. 6000번대는 1M 사양으로 제작되었다.

  • 모하 210형(M')


: 쿠모하 211형 또는 모하 211형과 유닛을 이루는 중간 전동차로, 전동 발전기(MG)와 공기압축기(CP)를 탑재한다. 민영화 이후 제조된 5000번대는 전동 발전기 대신 DC-DC 컨버터를 탑재했다.

  • 쿠하 210형(Tc')


: 짝수(남, 서) 방향 맨 앞부분에 연결되는 제어차로, 연결면 가까이에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다. 민영화 이후 5000번대와 5300번대가 제조되었는데, 5000번대는 화장실이 없지만 5300번대는 연결면 가까이에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다.

  • 사로 211형(Ts)


: 중간 부수차인 그린차이다. 짝수(남, 서) 방향에 화장실과 세면소가 설치되어 있고, 마루 밑에는 물탱크가 탑재되어 있다. 민영화 이후에는 사로 212형과 유닛을 구성하며, 현재는 1000번대로 번호가 변경되었다.

  • 사로 210형(Ts')


: 중간 부수차인 그린차이다. 홀수(북, 동) 방향에 차장실과 승무원실이 설치되어 있다. 민영화 이후에는 사로 213형과 유닛을 구성하기 위해 방향을 전환했으며, 현재는 1000번대로 번호가 변경되었다.[84]

  • 사로 213형(Tsd)


: 중간 부수차인 그린차로, 협궤 노선 최초의 2층 차량이다. 고베(남) 방면 가까이에 화장실과 세면소가 설치되어 있다. 대부분 사로 210형과 유닛을 구성하기 때문에 반대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현재 사로 124형·사로 125형에서 개조된 차량도 있다.[84]

  • 사로 212형(Tsd')


: 중간 부수차인 그린차로, 사로 213형과 동시에 등장하였다. 도쿄(북) 방면 가까이에 차장실과 승무원실이 설치되어 있다. 대부분 사로 211형과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 현재 사로 124형에서 개조된 차량도 있다.[84]

4. 3. 번대 구분

211계는 크게 다음과 같이 번대 구분이 이루어진다.

  • 쿠모하 211형(Mc): 홀수(북, 동) 방향 맨 앞부분에 연결되는 제어 전동차이다. 모하 210형과 유닛을 구성하며 팬터그래프, 주전동기, 주제어기를 탑재한다. 내장 및 탑재 설비에 따라 번대 구분이 있다. 민영화 이후에는 5000번대 계열이 제조되었는데, 5600번대는 저단면 터널 입선을 위해 팬터그래프 부착부만 저지붕 구조이며 C-PS24A형 팬터그래프를 탑재한다. 6000번대는 1M 사양 차량으로 등장했다.
  • 모하 211형(M): 모하 210형과 유닛을 구성하는 중간 전동차로 팬터그래프, 주전동기, 주제어기를 탑재한다. 0·2000번대만 존재한다.
  • 모하 210형(M'): 쿠모하 211형 또는 모하 211형과 유닛을 구성하는 중간 전동차로 전동 발전기(MG)와 공기압축기(CP)를 탑재한다. 내장 및 탑재 설비에 따라 번대 구분이 있다. 민영화 이후 제조된 5000번대는 전동 발전기 대신 DC-DC 컨버터를 탑재한다.
  • 쿠하 211형(Tc): 홀수(북, 동) 방향 맨 앞부분에 연결되는 제어차로, 연결면에서 가까운 3위 측에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고, 화장실 맞은편 자리는 크로스시트이다. 0·2000번대만 존재한다.
  • 쿠하 210형(Tc'): 짝수(남, 서) 방향 맨 앞부분에 연결되는 제어차로, 연결면에서 가까운 3위 측에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고, 화장실 맞은편 자리는 크로스시트이다. 내장 및 탑재 설비에 따라 번대 구분이 있다. 민영화 이후 5000번대와 5300번대가 제조되었는데, 5000번대는 화장실이 없지만 5300번대는 연결면에서 가까운 3위 측에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다.
  • 사하 211형(T): 중간 부수차(보통차)이다. 내장 및 탑재 설비에 따라 번대 구분이 있으며, 211계 중 가장 많이 제조되었다.
  • 사로 211형(Ts): 중간 부수차(그린차)이다. 짝수(남, 서) 방향에 화장실, 세면소가 설치되어 있고, 마루 밑에 물탱크가 탑재되어 있다. 초기에는 사로 210형과 유닛을 구성했으나, 민영화 이후에는 사로 212형과 유닛을 구성하며 현재는 1000번대로 번호가 변경되었다.
  • 사로 210형(Ts'): 중간 부수차(1등차)이다. 홀수(북, 동) 방면에 차장실과 승무원실이 설치되어 있다. 초기에는 사로 211형과 유닛을 구성했으나, 민영화 이후에는 사로 213형과 유닛을 구성하기 위해 방향을 전환했다. 현재는 1000번대로 번호가 변경되었다.


이후 서술할 전용 개조에 의해 0번대 그린차 4형식이 개조되었다. 이 차량들에는 모두 그린차 Suica 시스템 도입에 따른 R/W(리더/라이터)가 좌석 위에 설치되어 있다.

  • 사로 211형 1000번대·사로 212형 1000번대: 도카이도 본선용 211계 0번대 그린차에서 개조된 차량이다. 전용된 그린차는 당시 페어인 채 한랭지 사양으로 개조되어 원번호+1000번대로 변경되었다. 외관상 출입문 부근의 반자동 스위치 설치가 눈에 띈다.
  • 번호 신구 대조(2007년 4월 1일 기준):
  • 사로 211/사로 212-1 - 6 → 사로 211/사로 212-1001 - 1006
  • 사로 210형 1000번대・사로 213형 1000번대: 사로 211형 1000번대・사로 212형 1000번대와 같이 도카이도 본선용 211계 0번대 그린차에서 개조된 차량이다. 개조 내용도 동일하다. 이 형식은 전용처에서도 4호차에 2층 그린차를 배치하기 위해, 2층 그린차를 조성할 때 양 차량 모두 방향 전환한 채로 전용되었다.
  • 번호 신구 대조(2007년 4월 1일 기준):
  • 사로 210/사로 213-1 - 6 → 사로 210/사로 213-1001 - 1006


이후 서술할 치환 및 전용에 의해 113계 2층 그린차 2형식이 211계로 개조 편입되었다. 전차 제동 구조를 113계에서 211계의 것으로 변경하는 개조가 시행되었다. 이 차량들에도 모두 그린차 Suica 시스템 도입에 따른 리더/라이터가 좌석 위에 설치되어 있다.

  • 사로 213형 100번대・사로 212형 100번대: 화장실·세면소 포함 사로 125형 4량과 차장실 포함 사로 124형 20량에서 개조되었다. 치환 대상 편성이 12개였기 때문에, 사로 125형 4량은 정방향으로 방향 전환하여 사로 213형, 사로 124형 중 8량은 방향 전환 후 차장실에 화장실·세면소를 설치하는 개조를 실시하여 사로 213형, 다른 12량은 사로 212형으로 개조되어 각 차원번호+100번대로 변경되었다. 또한 측면 행선 표시기가 LED화되었다.
  • 신구 번호 대조(2007년 4월 1일 기준):
  • 사로 125-1・2・3・5 → 사로 213-101・102・103・105
  • 사로 124-6・7・8・※9・※14・16・17・18 → 사로 213-106・107・108・※109・※114・116・117・118
  • 사로 124-1・3・5・※10・15・23・24・※25・※26・※27・※28・※29 → 사로212-101・103・105・※110・115・123・124・※125・※126・※127・※128・※129
  • ※는 원·오후나 전차구(현·가마쿠라 차량센터) 소속 소부 쾌속·요코스카선용 사로 124형으로 1996년 1월 - 3월에 고즈 전차구(현·고즈 차량센터)에 전속하여 신쇼난대(태대)가 된 차량이다.
  • 단기간에 대상 차량 개조를 시공하기 위해 차호를 이탤릭 문자로 표시한 사로 124-1·3·5·6·7·8로부터의 개조차는 대차를 계속 TR69형으로 장착하여, 211계로는 유일하게 볼스터 대차를 탑재한 차량이 되었다.

  • 사로 213형 1100번대・사로 212형 1100번대: 앞에서 서술한 100번대와 같이 사로 125형 1량과 사로 124형 9량으로부터 개조되었다. 이 개조차는 10량 중 9량이 화장실·세면소를 장비하지 않은 사로 124형이었기 때문에, 사로 125형 1량은 정방향으로 방향 전환하여 사로 213형, 사로 124형 4량은 방향 전환 후 차장실 부분에 화장실·세면소를 설치하는 개조를 시공하여 사로 213형, 다른 5량은 차장실을 남긴 채 사로 212형으로 개조되었다. 또한 전 차량 한랭지 사양으로 개조(출입문의 반자동 스위치 설치 등)도 시공되었으며, 각 차원번호+1100번대로 변경되었다. 이들도 측면 행선 표시기가 LED화되었지만, 주행 중 소등 기능은 없다.
  • 번호 신구 대조(2007년 4월 1일 기준):
  • 사로 125-4 → 사로 213-1104
  • 사로 124-2・※12・20・22 → 사로 213-1102・※1112・1120・1122
  • 사로 124-4・※11・※13・19・21 → 사로 212-1104・※1111・※1113・1119・1121
  • ※는 앞에서 서술한 100번대를 참조.
  • 전술의 100번대와 같이 차호를 이탤릭 문자로 표시한 사로 124-2·4로부터의 개조차 대차는 계속해서 볼스터 대차인 TR69형을 장착하고 있다. 또한 컬러 시트 부착 방법이 다른 요코스카선 계통으로부터 전입차를 개조한 차량(※가 붙은 차량)은 컬러 시트 부착이 실시되지 않았다.

  • 211-0계(기본형, 크로스 시트)
  • 211-1000계(추운 지방 사양, 크로스 시트)
  • 211-2000계(기본형, 롱 시트)
  • 211-3000계(추운 지방 사양, 롱 시트)
  • 211-5000계(JR 도카이 사양)
  • 211-6000계(JR 도카이 사양, 싱글 전동차 포함)
  • 조이풀 트레인 변형(JR 서일본 사양)

5. 운용

1000번대는 세미 크로스 시트, 3000번대는 롱 시트 차량으로, 스노우 플라우(제설기), 내설 브레이크, 반자동문, 레일 히터 등 한랭지 운행 설비를 갖추고 1986년 2월 18일부터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14]

편성은 5량(McM'TTTc')으로 1000번대와 3000번대 모두 동일하다. 국철 시대에는 1000번대 11편성, 3000번대 22편성, 총 165량이 제조되었고, 민영화 후에는 3000번대만 1991년까지 40편성이 증비되었다. JR 동일본 이관 후 증비차량(쿠모하 211형・모하 210형・쿠하 210형 3023 이후)은 2000번대와 동일한 설계 변경이 이루어졌다.[15][17]

1000번대는 전 차량 신마에바시 전차구(현 다카사키 차량센터)에 배치되었고, 3000번대는 쿠모하 211형・모하 210형・쿠하 210형 3001 - 3046은 신마에바시 전차구, 3047 - 3062는 오야마 전차구(현 오야마 차량센터)에 배치되었다. 2000년부터 E231계가 오야마 전차구에 신규 배치되면서, 같은 해 12월 신마에바시 전차구로 3000번대 배치가 집중되었다(일부 마쿠하리 차량센터 전출).

우선석 손잡이는 모든 편성에서 E233계와 같은 형태로 교체되었다. 2008년 가을경부터 좌석 겉면 재질이 수오색에서 청록색으로 바뀌었고, PS33E형 싱글 암식 팬터그래프로의 교체 및 증설(일부)이 진행되었다.

다마치 차량센터에 이어 2012년도에는 다카사키 차량센터용으로도 E233계 3000번대 250량이 투입되었다. 우쓰노미야선 고가네이역 - 구로이소역 간 5량 편성 운용은 2013년 8월 24일부터 운용을 시작한 205계 600번대로 대체되었다.

2013년 3월 16일 다이어 개정으로 우쓰노미야선 우에노역 발착 운용이 종료되었고,[23] 2014년 3월 15일 다이어 개정으로 다카사키선 운용도 종료되어 도심 운행은 사라졌다. 같은 해 3월 24일부로 우쓰노미야선 고가네이역・우쓰노미야역 - 구로이소역 간 운용도 종료되었다. 우쓰노미야선과 료모선 직통 열차 2왕복 중, 우쓰노미야선 오야마역 - 구로이소역 간 1왕복 운용은 2017년 3월 3일, 오야마역 - 우쓰노미야역 간 1왕복 운용은 2019년 3월 16일 다이어 개정으로 폐지되어, 우쓰노미야선에서 3도어 차량(가라스야마선 직통 열차 제외)의 정기 운용은 완전히 사라졌다.[24]

JR 도카이는 1988년에 211계를 도입하여 1991년까지 쿠모하211형 77량(5000번대 48량, 5600번대 20량, 6000번대 9량), 모하210형 68량, 쿠하210형 77량(5000번대 57량, 5300번대 20량), 사하211형 20량 총 242량을 제조했다. JR 동일본의 0・2000번대와는 달리, 4량(McM'TTc' = 2M2T) 또는 3량(McM'Tc' = 2M1T)을 기본으로 하는 전동차 비율이 높은 편성이 되었다.[25] 보조 전원이 3상 교류 440V, 60Hz에서 직류 600V로 변경되어 기존 차량과 구별하기 위해 5000번대로 명명되었다.[25]

나고야・시즈오카 도시권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혼잡 시간 대책으로 좌석은 모두 롱 시트로 하고, 초기에는 화장실을 설치하지 않았다.[25] 운행 구간을 고려하여, 처음부터 모든 차량을 금연차로 지정하고 재떨이 설치를 생략했다.[25] 실내에서의 전망을 좋게 하기 위해, 213계와 마찬가지로 전면 관통문과 운전실 조수석 측 창문을 아래쪽으로 확대하고, 운전실과 객실 사이 칸막이 창문도 확대했다.[26][27]

객실 내부는 승강문의 객실 쪽을 화장판으로 마감하고, 바닥 깔개도 따뜻한 색상의 2가지 색으로 했다.[26][27][28] 전동차의 경우 바닥의 주전동기 점검 덮개를 없애고, 주전동기의 냉각 팬 형상을 외선형에서 내선형으로 변경하여 실내의 정숙성을 높였다.[25][26][27] 좌석은 0・2000번대 등에 비해 쿠션재를 두껍게 하고, 깊이를 깊게 변경하여 착석감 향상을 꾀했다. 짐 선반은 금속망식에서 파이프식으로 변경되었으며[29], 천장의 횡류 팬(보조 송풍기)은 4대에서 6대로 늘렸다.[25]

전기 연결기・자동 해제 장치의 장착에 따라 점퍼 연결기가 생략되어, 전두부의 스커트 형상이 동일본 소유의 0번대와 다르다. 또한 각 차량 양쪽 끝 4개의 문에는 도어 컷 표시등이 설치되어, 장시간 정차 시 등 도어 컷 시에 표시한다. 차량 측면에는 차외 방송용 스피커가 설치되어, 차장이 버튼을 누르면서 마이크를 사용하면 방송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26][27] 대차는 볼스터리스 대차인 것은 같지만 국철 시대 제조분과 달리, 견인 장치가 적층 고무식에서 Z 링크식으로 변경되어, 형식 명칭이 C-DT56・C-TR241로 변경되었다.[25] 향후 속도 향상을 고려하여, 새롭게 요 댐퍼 장착 받침대가 준비되었다.[26][27]

보조 전원 장치는 기존의 3상 교류 440V, 60Hz를 출력하는 브러시리스 전동 발전기 대신, 직류 600V를 출력하는 DC-DC 컨버터 방식으로 변경했다.[30][31] 장치는 도요 전기 제조와 공동 개발한 "C-SC25형" 부스터 방식 DC-DC 컨버터이며,[31] 가선으로부터의 직류 1,500V를 첨가 여자 제어의 전원용으로 단상 교류 600V, 180Hz 방형파(18 kVA)로 변환, 게다가 냉방 및 공기 압축기 전원용 직류 600V(90 kW), 실내 조명 등의 단상 교류 100V, 60Hz×2(15 kVA), 축전지 전원용 직류 100V(2 kW)로 변환한다.[30][31] 정격 용량은 130 kW(합계)로, 장치는 정류 장치도 포함하여 일체형 상자에 수용되어 소형 경량화를 실현했다.[26][27]

냉방 장치는 DC-DC 컨버터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에 의한 인버터 제어 방식의 집약 분산식 C-AU711D-G1형 2기로 변경되었다.[27] 스크롤식 압축기의 채용에 의해 저소음화되었고, 제습 기능도 부가되었다.[26][27] 공기 압축기는 직류 600V에 의한 VVVF 제어로 하고, 첨가 여자 제어의 단상 교류 전원화에 따라 장치가 경량화되었다.[30]

장기간에 걸쳐 제조되었기 때문에 사양 변경도 많아, 1차차에서 4차차까지 분류된다.

5. 1. JR 동일본

 N1・N2・N3・N4・N5・N6사로 211+사로 2120번대 (1989년 - 2007년)다마치:
 N1・N2・N3・N4・N5・N61000번대(2007년 - )다카사키:
 C1・C2・C3・C5・C6・C9 사로 210+사로 213(반전)0번대 (1989년 - 2007년)다마치:
 N21・N22・N23・N24・N25・N261000번대(2007년 - )다카사키:
 C4・C7・C8・C10・C11・C12 사로 213+사로 2120번대(1989년 - )다마치:
 N31・N32 100번대(2007년 - )다마치:
 N1・N2・N3・N4・N5・N6・
 N21・N22・N23・N24・N25・N26 1100번대(2007년 - )다카사키:
 C13・C14・C15・C16・C17 



2009년 3월 14일 기준 JR 동일본 211계 현황은 아래와 같다.


다카사키선·조에쓰선 다카사키역 - 신마에바시역 구간, 료모선 신마에바시역 - 마에바시역 구간, 우쓰노미야선 우에노역 - 우쓰노미야역 구간 보통, 쾌속 '어번'·'래빗'('래빗'은 토요일·휴일 하행만), 통근쾌속 운용. 15량 편성은 다카사키선 가고하라역(후카야역 발착은 후카야역까지), 우쓰노미야선 우쓰노미야역까지만 운용.
A편성 및 B편성은 후카야역 - 다카사키역 구간 영업 운행 없음. 가고하라역 - 신마에바시역 구간 회송으로 입출고.
C편성 6호차 - 10호차(5량) 단독으로 A편성·B편성과 같이 부속 편성 취급 운용 사례 있음.
우쓰노미야선 고가네이역 - 구로이소역 구간(주로 우쓰노미야역 - 구로이소역, 일부 5량+5량), 조에쓰선 다카사키역 - 신마에바시역, 료모선 전 구간 운용.
2009년 12월 중순부터 겨울철 료모선 운용 차량 일부, 팬터그래프 2개 탑재 편성 한정으로 양쪽 팬터그래프 모두 올려 운용.

5. 1. 1. 개요

211계는 일본국유철도(국철)가 설계하고, 동해 여객철도(JR 동일본)가 사용하는 직류 근교형 전동차이다. 온난지 사양으로 0번대는 세미 크로스시트, 2000번대는 제어차의 화장실 맞은편을 제외하고 롱시트로 되어 있다. 도쿄 지구에는 0·2000번대가 투입되었다.

국철 시대에는 도카이도 본선 도쿄지구용 그린샤(1등차) 2량을 연결한 0번대 10량(TcTMM'TTsTs'MM'Tc') 6편성 60량과 2000번대 5량(TcTMM'Tc') 5편성 25량, 총 85량이 제조되어 다마치 전차구(현 다마치 차량센터)에 배치되었다.

그린샤는 종래 1량에 화장실·세면소와 전무 차장실을 갖추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예: 사로 110형 1200번대), 211계에서는 화장실과 세면소만 탑재한 사로 211형과 전무 차장실만 탑재한 사로 210형으로 나누어 제조하여 이들을 함께 편성하여 운용하였다. 이로 인해 사로 110형(1200번대)에 비해 정원이 4명 증가한 64명이 되었다. 좌석 간 간격(시트피치)은 970mm로 유지했지만, 차체가 넓어진 것을 활용하여 통로폭 600mm를 확보하고 좌석폭을 475mm로 넓혔다(종래 차량은 450mm). 등받이는 프리스톱식으로 하여 기울기를 기존보다 약간 크게 했다. 2층 그린샤 등장 이후에는 좌석 등받이 테이블, 중간 팔걸이와 입석 승객용 손잡이가 추가되었다.

도입 당시 특정 구간(도카이도 본선 도쿄지구는 도쿄역 - 히라쓰카역) 이외에서는 흡연이 가능했었기 때문에 롱시트차를 포함한 각 차량(금연차 제외)에 재떨이를 설치했다. 롱시트차는 출입문 손잡이와 객차 끝부분(처부)에 설치했다. 그러나 금연 구간 확대에 따라 그린샤를 포함한 전 차량이 금연이 되면서 재떨이는 철거되었다. 2층 그린샤는 처음부터 금연차로 등장했기 때문에 재떨이가 설치되지 않았다.

JR 동일본에서는 1989년부터 1991년까지 기본 편성 8개 편성 80량과 부속 편성 9개 편성 45량, 총 125량을 추가 도입했다. 롱시트차는 부속 편성에만 있었지만, 기본 편성도 롱시트의 2000번대로 지정되었다. 1989년 후기 이후의 추가 도입분은 출입문 안쪽의 스폿 용접에 의한 반점이 사라졌다. 그린샤도 정원 증가를 위해 2층의 사로 213·212형으로 변경되었다. 기존 편성은 단층 구조의 사로 211·210형 편성이었지만, 신조된 2층 그린샤와 편성을 조합하여 14편성 중 12편성이 2층차와 단층차를 각각 1량씩 조성하였다. 0번대 편성은 사로 211형+사로 212형, 2000번대 편성은 후술하는 2편성을 제외한 사로 210형+사로 213형의 조성으로 편성 중의 2층 차량 연결 위치를 4호차로 변경하기 위해 사로 210형은 내부 안내를 교체하고, 사로 213형(1 - 6)은 내부 안내를 양측으로 제조 후 양 차량 모두 방향 전환하여 조성하고 있다. 1990년과 1991년에 증비된 2편성은 단층 그린차를 신조하면 수송력의 증강이 되지 않기 때문에 그린차를 사로 213형+사로 212형으로 신조하여 처음으로 2층 그린차 2량 연결로 되어 등장했다. 편성 중의 사로 213형은 당초부터 정규의 위치에 연결되고 있었기 때문에 내부 안내는 편측이 되고 있다.

사로 213형의 화장실은 사로 211형의 일본식에서 651계에 준하는 서양식으로 변경되었다. 화장실 입구의 출입문은 당초 접이문이었지만, 후에 미닫이문으로 개조되었다.

최근 우선석 부분의 손잡이를 E233계와 동일한 형태로 교체하였으며, 2008년 가을 무렵부터는 열화된 좌석의 모켓(천)을 제조 시의 암홍색에서 청록색으로 교환하고 있다.

사로 212형 100번대+사로 213형 100번대 조입의 211계 2000번대

5. 1. 2. 도카이도 본선(도쿄 지구)

도쿄 지구에는 0·2000번대가 투입되었다.

국철 시대에는 도카이도 본선 도쿄지구용 그린샤(1등차) 2량 조성의 0번대 10량(TcTMM'TTsTs'MM'Tc') 6편성 60량과 2000번대 5량(TcTMM'Tc') 5편성 25량, 총 85량이 제조되어 다마치 전차구(현 다마치 차량센터)에 배치되었다.

그린샤는 종래 1량에 화장실·세면소와 전무 차장실을 장비하는 것이 통례였지만(일례: 사로 110형 1200번대), 본 계열에서는 화장실과 세면소만 탑재한 사로 211형과 전무 차장실만 탑재한 사로 210형으로 나누어 제조하여 이들을 같이 편성하여 운용되고 있다. 이로 인해 사로 110형(1200번대)에 비해 정원이 일렬 4명 증가한 64명으로 증가하였다. 시트피치는 당시 그대로 970mm로 했지만, 차체가 종래보다 넓어진 것을 살리고 통로폭 600mm를 확보한 채 좌석폭을 475mm로 넓히고(종래차는 450mm), 등받이는 프리스톱식으로 하여 경사 각도도 기존보다 약간 크게 했다. 2층 그린샤 등장 이후 아코모데이션 격차 해소를 위해 배면 테이블, 중간 기둥과 입석 승객용 난간이 추가로 설치되었다.

도입 당시 특정 구간(도카이도 본선 도쿄지구는 도쿄역 - 히라쓰카역) 외에서는 흡연이 가능했었기 때문에 롱시트차를 포함한 각 차량(금연차 제외)에 재떨이를 마련하였다. 롱시트차는 출입문의 손잡이와 처부에 설치했다. 그러나 금연 구간 확대에 따라 그린샤를 포함한 전 차량 금연이 된 현재 재떨이는 철거되고 있다. 뒤에 서술하는 2층 그린샤는 당초부터 금연차로 등장했기 때문에 재떨이는 처음부터 설치하지 않았다.

JR 동일본에서는 1989년부터 1991년까지 기본 편성 8개 편성 80량과 부속 편성 9개 편성 45량, 총 125량을 증비했다. 종래 롱시트차는 부속 편성뿐이었지만, 기본 편성도 롱시트 2000번대차로 지정되어 1989년 후기 이후 증비차는 출입문 안쪽 스폿 용접에 의한 반점이 사라졌다. 그린샤도 정원 증가를 도모하기 위해 2층의 사로 213·212형으로 결정되었다. 종래 편성은 단층 구조의 사로 211·210형 편성으로 연결하고 있었지만, 신조 2층 그린샤와 편성을 조성, 14편성 중 12편성이 2층차와 단층차를 각각 1량씩 조성하였다. 0번대 편성은 사로 211형+사로 212형, 2000번대 편성은 뒤에 서술하는 2편성을 제외한 사로 210형+사로 213형의 조성으로 편성 중 2층 차량 연결 위치를 4호차로 변경하기 위해 사로 210형은 내부 안내를 교체하고, 사로 213형(1 - 6)은 내부 안내를 양측으로 제조 후 양 차량 모두 방향 전환하여 조성하고 있다. 1990년과 1991년에 증비된 2편성은 단층 그린샤를 신조하면 수송력 증강이 되지 않기 때문에 그린샤를 사로 213형+사로 212형으로 신조하여 처음으로 2층 그린샤 2량 연결로 되어 등장했다. 편성 중 사로 213형은 당초부터 정규 위치에 연결되고 있었기 때문에 내부 안내는 편측이 되고 있다.

사로 213형의 화장실은 사로 211형의 일본식에서 같은 시기에 등장한 651계에 준한 서양식으로 결정되었다. 화장실 입구의 출입문은 당초 오리토식이었지만 후에 외플러그식 미닫이문으로 개조되었다.

최근 우선석 부분의 손잡이를 E233계와 동일한 형태로 교체한 것 외에 2008년 가을 무렵 열화된 시트 모켓을 제조 시의 암홍색에서 청록색으로 교환하고 있다.

2004년 10월부터 2006년 3월에 걸쳐 도카이도 본선 도쿄지구에서 운용되고 있던 고즈 차량센터 소속 113계가 E231계로 교체된 것과 동시에 211계 사양으로 제조되어 113계에 조성된 2층 그린차 34량(사로 125형 5량·사로 124형 29량)을 211계로 개조 편입하게 되었다. 당초 계획에서 2층 그린차는 모두 우쓰노미야선·다카사키선으로 전용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단층차를 병용하고 있던 도카이도 본선용 그린차에 대해 그린차 이용률이 높고 혼잡이 예상되었기 때문에 모두 2층차로 교체하는 것으로 하고, 2층 그린차 34량 중 24량(사로 125형 4량·사로 124형 20량)을 도카이도 본선용으로 개조 편입했다. 또한 단층차와 그것과 페어를 짜는 2층차 12조 24량을 염출하여 나머지 10량과 함께 우쓰노미야선·다카사키선으로 전용하는 것으로 했다. 또한 113계가 모두 E231계로 교체되고 있던 2006년 3월 18일의 다이어 개정으로 도카이도 본선·이토 선에서도 그린차 Suica 시스템의 운용이 개시되면서 거기에 대응하기 위한 개조도 아울러 실시되고 있다. 덧붙여 후에 신조된 사로 213형+사로 212형의 2조 4량에 다른 계획 없이 그린차 Suica 시스템 대응 개조를 실시하여 도카이도 본선 도쿄구에서 계속 운용되고 있다.

2006년 3월 JR 동일본은 우쓰노미야선·다카사키선 우에노역 발착 열차의 그린차 연결율을 100%로 하는 것을 결정했다. 상기 조입을 완료한 것만으로는 80% 정도였기 때문에 7월까지 E231계를 110량 추가 투입하여 211계의 그린차 비편성 편성을 교체하였다. 그 때문에 211계 중에서 그린차를 조성하지 않은 편성이 부속 편성으로서 운용되는 것을 제외하고 113계 교체에 수반한 전용 등도 포함하여 대폭 변경되고 있다.

그린차 연결 편성은 10량×17편성(170량)이며 3000번대 34개가 그린차 조입편성에 사용되어 더 추가하여 부속편성 분 17편성을 공제하면 211계 잉여분이 정확히 이번 증비분 E231계와 같은 수인 110량(5량×22편성)이 된다. 이 편성 가운데 70량(5량×14편성)은 해안가를 주행하여 염해에 의한 부식 등이 진행되고 있는 보소 지구 각 노선 113계 교체용으로 마쿠하리 차량센터에 전용하게 되었다. 나머지 40량은 우쓰노미야선·다카사키선의 수송력 증강분에 투입할 수 있게 되었다. 2006년 7월 다이어 개정에서는 우에노구의 15량 운용이 증가했기 때문에 우쓰노미야역 - 구로이소역 구간(일부 고가네이역 - 구로이소역 구간)에서 운용되고 있던 E231계 5량 운용이 211계 5량 운용(일부 5량+5량 운용도 있다)으로 변경되었다.

전용 편성은 전면 종별 표시기를 LED에서 막식으로 복원(일부)[87]과 차체대색을 변경한 다음 오미야 종합차량센터 등에서 2006년 8월 이후 차례차례 출장했다. 마쿠하리 차량센터 소속 113계 차체색이나, 가마쿠라 차량센터 소속 E217계 띠색인 크림 1호와 파랑 15호의 투톤 컬러(스카색)와는 다르기 때문에 255계·E257계 500번대와 같은 색의 황색에 진하지 않은 파랑인 '치바색'이라고 불렸다. 편성 번호는 마리 401 - 414로 부번되어 2006년 10월 21일부터 운용을 개시했다.

노선 컬러에 의한 행선 표시는 113계가 행선지인데 대해, 211계는 선두차 전면 상부가 노선을, 측면 상부에는 노선을 위에, 행선을 아래에 표시하고 있다. 전용 후에도 반자동 스위치는 남겨진 채로 2006년 12월 2일부터는 치바역이나 소가역을 제외하고 역에서 정차 시간이 5분 이상인 경우에 한정하여 출입문 옆 반자동문 스위치를 연중 사용하고 있다.

2007년 11월부터 일부 편성에서 집전효율을 올리는 목적으로 팬터그래프를 2기본으로 증설하는 개조를 실시하였다[88]. 증설된 팬터그래프는 싱글암식이 되고 있어 전후로 다른 형태가 되었다. 이 2기 팬터그래프화에 사용된 팬터그래프는 주오선 201계의 폐차 발생품이다. 이 개조는 마리 402 - 마리 408·마리 410의 8편성에 실시되어 개조 후에는 마리 501 - 마리 508로 편성 번호가 변경되었다. 또한 마리 409·마리 411 - 마리 414에 관해서는 편성 번호를 채우는 움직임으로 마리 404 - 마리 408로 변경되었다. 그 후 2008년 2월부터는 마리 403 편성을 시작으로 반자동문 스위치가 E233계 형태로 교체되었다[89].

향후, 게이힌 도호쿠선에서 전용되는 209계 2000·2100번대 도입에 의해 2011년도 말까지 113계와 함께 옮겨질 예정으로[90] 염출된 차량 중 사하 211형 이외의 42량(Mc-M'-Tc'×14개)은 도요타 차량센터에 전속하여 115계를 교체할 예정이다[91]. 이것에 의해 잉여가 되는 사하 211형 28량은 폐차될 예정이다.

JR 동일본 소속차는 앞에서 서술한 그린차 치환(도카이도 본선용) 및 조입(우쓰노미야선·다카사키선용)이 종료되고 나서는 승무원실(쿠모하·쿠하)에 디지털 무선 대응 공사가 차례차례 실시되었다. 이것은 1986년부터 각 차량에 탑재하고 있는 열차 무선 장치(주로 신A형 무선)가 노후화 교체 시기를 맞이하여 특히 수도권에서는 폭설이나 뇌우 등 비상시 전 노선 일제 정보 연락이나 지령 전달을 실시하는 등 높은 이용률을 보이고 있어 지령 통화 회선 증강이 필요한 데다 또한 열차 지원 운행 업무의 충실을 도모하기 위해 지령 통고, 서행 구간 정보, 차량 기기 상태 감시 등 열차·지상 간 데이터 통신 수요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인해 그들을 가능하게 한 무선 시스템 변경을 목적으로 하여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즈음하여 차량측에도 탑재 공사를 시행 중이며 시공된 차량은 승무원실 천정 부근 2곳에서 장치가 들어간 박스가 객실에 돌출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운전대에는 '디지털 무선 대응이 끝난 상태'라고 표기된 씰이 첨부되고 있어 소형의 간이 모니터 장치(E231계 등에 탑재되고 있는 TIMS 모니터와 표시가 아주 비슷하지만, IC카드로 기억된 시각표나 디지털 열차 무선 운용 시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정도의 기능 밖에 없다)를 설치하고 있다.

다카사키 차량센터 배치차의 그린차와 연결하고 있는 선두차 가운데 3호차의 쿠모하 211형에는 모니터는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6호차의 쿠하 210형에는 설치되어 있다.

도카이도선·우쓰노미야선·다카사키선에 연결되고 있는 211계 그린차 편성은 기존의 것을 포함하고, 크게 나누면 아래의 4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덧붙여 모두 전자가 5호차로 후자가 4호차이다.

또한 '다마치'는 다마치 차량센터 소속의 약어, '다카사키'는 다카사키 차량센터 소속의 약어이다.

편성현재의 해당 편성과거의 해당 편성
사로 211+키로 2100번대 (1985년 - 1989년)다마치:
 N1・N2・N3・N4・N5・N6
사로 211+사로 2120번대 (1989년 - 2007년)다마치:
 N1・N2・N3・N4・N5・N6
1000번대(2007년 - )다카사키:
 C1・C2・C3・C5・C6・C9
 
사로 210+사로 213(반전)0번대 (1989년 - 2007년)다마치:
 N21・N22・N23・N24・N25・N26
1000번대(2007년 - )다카사키:
 C4・C7・C8・C10・C11・C12
 
사로 213+사로 2120번대(1989년 - )다마치:
 N31・N32
 
100번대(2007년 - )다마치:
 N1・N2・N3・N4・N5・N6・
 N21・N22・N23・N24・N25・N26
 
1100번대(2007년 - )다카사키:
 C13・C14・C15・C16・C17
 


2011년 가을부터 다마치 차량센터에 E233계 3000번대의 투입이 시작되어, 이 계열의 증비에 따라 2012년4월 23일부로 이 센터 배치의 본 계열의 정기 운용을 종료, 교체가 완료되었다.[18][19] 교체 완료 후 같은 해 5월 12일·13일에는 도쿄역 - 이즈 급행선이즈큐 시모다역 사이에서 영업 운전 종료를 기념하는 단체 임시 열차가 운행되었다.[20]

5. 1. 3. 우쓰노미야선, 다카사키선

211계 1000번대는 세미 크로스 시트 차량, 3000번대는 롱 시트 차량으로, 모두 스노우 플라우(제설기), 내설 브레이크, 반자동문, 레일 히터 등의 내한 내설 장비가 갖춰져 있다. 1986년 2월 18일부터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14]

편성은 1000・3000번대 모두 5량 편성(McM'TTTc')으로 동일하다. 국철 시대에는 1000번대 11편성과 3000번대 22편성을 합쳐 총 165량이 제조되었으며, 민영화 후에는 3000번대만 1991년까지 40편성이 증비되었다.

1000번대는 전 차량 신마에바시 전차구(현 다카사키 차량센터)에 신규 배치되었고, 3000번대는 3001 - 3046은 신마에바시 전차구, 3047 - 3062는 오야마 전차구(현 오야마 차량센터)에 배치되었다. 2000년부터 E231계가 오야마 전차구에 신규 배치되면서, 같은 해 12월에 3000번대 배치가 신마에바시 전차구로 집약되었다(이후 일부가 마쿠하리 차량센터로 전출).

모든 편성에서 우선석 손잡이가 E233계 타입으로 교체되었다. 2008년 가을경부터는 좌석 모켓을 수오색에서 청록색으로 교체했으며, 순차적으로 PS33E형 싱글 암식 팬터그래프로 교체 및 증설(일부)이 이루어졌다.

2012년도에 다카사키 차량센터용으로 E233계 3000번대 250량이 투입되었다. 우쓰노미야선 고가네이역 - 구로이소역 간 5량 편성 운용은 2013년 8월 24일부터 운용을 시작한 205계 600번대로 대체되었다.

2013년 3월 16일 다이어 개정으로 우쓰노미야선 우에노역 발착 운용이 종료되었고,[23] 2014년 3월 15일 다이어 개정으로 다카사키선 운용도 종료되어 도심 운행이 소멸되었다. 같은 해 3월 24일부로 우쓰노미야선 고가네이역・우쓰노미야역 - 구로이소역 간 운용도 종료되었다. 우쓰노미야선과 료모선 직통 열차 2왕복 중, 우쓰노미야선 오야마역 - 구로이소역 간 1왕복 운용은 2017년 3월 3일, 오야마역 - 우쓰노미야역 간 1왕복 운용은 2019년 3월 16일 다이어 개정으로 폐지되어, 우쓰노미야선에서 3도어 차량(가라스야마선 직통 열차 제외)의 정기 운용이 소멸되었다.[24]

2층 그린샤를 연결한 211계 3000번대 기본 C편성


도카이도선용 211계 그린샤의 전면 2층화로 인해 마련된 평층+2층(사로211+사로212×6개 조와 사로210+사로213×6개 조) 12개 조와, 도카이도선에서 운용하던 113계의 E231계 교체로 남게 된 사로125형 1량・사로124형 9량(총 34량)을 활용하여, 우쓰노미야선・다카사키선용 211계에도 그린샤를 연결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5량 편성 2개를 조합하여 사하 2량을 빼고 그린샤 2량을 양 편성의 마주보는 선두차 사이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편성이 변경되었다. 그린샤 조립은 3000번대 34량을 사용하여 진행되었으며, 2006년 9월까지 10량 기본 편성 17개가 조성되었다.

그린샤 Suica 시스템 도입을 위해 모든 좌석 상단에 Suica를 터치하기 위한 리더/라이터가 설치되었다.

그린샤 조립으로 편성에서 제외되어 남은 사하211형 3000번대 34량은 전량 폐차되었으며, 2006년 5월 30일에 4량, 6월 14일에 6량, 7월 9일・23일과 8월 8일에 각각 8량씩 나가노 종합 차량 센터로 회송되어 해체 작업이 진행되었다.

113계 2층 그린샤 34량(사로125형 5량・사로124형 29량)을 개조 편입하고, 상기 사하 34량을 폐차했기 때문에 조성 변경 전후로 211계 총 량수에는 변화가 없었다.

다마치 차량센터 및 다카사키 차량센터 소속 211계는 2011년부터 증비가 재개된 E233계 3000번대로 교체되었다.[46] 이는 2015년 3월 우에노 도쿄 라인 개통을 위한 조치였다.[46]

다카사키 차량센터 소속 차량도 E233계 3000번대 기본 편성 17개 편성・부속 편성 16개 편성(250량) 투입으로 교체가 진행되어, 2013년 3월 15일부로 우쓰노미야선 우에노 방면 정기 운용이 종료되었다. 2014년 3월 14일부로 다카사키선 정기 운용도 종료되어, 정기 운용은 료모선만 남았다.

교체된 차량 중 그린샤는 2014년 12월까지 전량 폐차되었고, 다른 부수차도 폐차가 진행되었다. 전동차・제어차는 나가노 지구나 다카사키 지구 로컬 운용에 전용되고 있다.
다카사키 차량 센터 소속 차량


차체 띠:

다카사키 차량 센터 소속 차량: 122량

편성현재의 해당 편성과거의 해당 편성
colspan="4"|
사로 211+키로 2100번대 (1985년 - 1989년)다마치:
 N1・N2・N3・N4・N5・N6
사로 211+사로 2120번대 (1989년 - 2007년)다마치:
 N1・N2・N3・N4・N5・N6
1000번대(2007년 - )다카사키:
 C1・C2・C3・C5・C6・C9
 
사로 210+사로 213(반전)0번대 (1989년 - 2007년)다마치:
 N21・N22・N23・N24・N25・N26
1000번대(2007년 - )다카사키:
 C4・C7・C8・C10・C11・C12
 
사로 213+사로 2120번대(1989년 - )다마치:
 N31・N32
 
100번대(2007년 - )다마치:
 N1・N2・N3・N4・N5・N6・
 N21・N22・N23・N24・N25・N26
 
1100번대(2007년 - )다카사키:
 C13・C14・C15・C16・C17
 

5. 1. 4. 보소 지구

2006년 7월 다이어 개정으로 우에노발 15량 운행이 증가함에 따라, 우쓰노미야 - 구로이소 구간(일부 고가네 - 구로이소 구간)에서 운용되던 E231계 5량 운용이 211계 5량 운용(일부 5량+5량 운용도 있음)으로 변경되었다.[87]

전면 종별 표시기를 LED에서 막식으로 복원하고(일부),[87] 차체 도색을 변경한 후 2006년 8월 이후 오미야 종합차량센터 등에서 차례차례 출장했다. 마쿠하리 차량센터 소속 113계의 차체색이나, 가마쿠라 차량센터 소속 E217계의 띠색(크림색 1호와 파란색 15호의 투톤 컬러, 일명 스카색)과는 달리, 255계·E257계 500번대와 같은 황색에 진하지 않은 파란색, 이른바 '치바색'으로 불렸다. 2006년 10월 21일부터 마리 401 - 414의 편성 번호로 운용을 시작했다.[88]

113계는 행선지를 표시하는 반면, 211계는 선두차 전면 상부에 노선을, 측면 상부에는 노선명을 위에, 행선지를 아래에 표시했다. 전용 후에도 반자동 스위치는 그대로 남겨졌으며, 2006년 12월 2일부터는 지바소가역을 제외하고 역 정차 시간이 5분 이상일 경우에 한해 출입문 옆 반자동문 스위치를 연중 사용했다.[89]

2007년 11월부터 일부 편성에서 집전 효율을 높이기 위해 팬터그래프를 2개로 증설하는 개조를 실시했다.[88] 증설된 팬터그래프는 싱글암식이며, 전후로 다른 형태였다. 이 팬터그래프는 주오선 201계의 폐차 발생품을 사용했다. 마리 402 - 408, 마리 410의 8개 편성에 개조를 실시하여 마리 501 - 508로 편성 번호를 변경했다. 마리 409, 마리 411 - 414는 편성 번호를 채우기 위해 마리 404 - 408로 변경되었다. 2008년 2월부터는 마리 403 편성을 시작으로 반자동문 스위치가 E233계 형태로 교체되었다.[89]

게이힌 도호쿠선에서 전용되는 209계 2000·2100번대의 도입으로, 2011년도 말까지 113계와 함께 교체될 예정이었다.[90] 이로 인해 발생하는 잉여 차량 중 사하 211형을 제외한 42량(Mc-M'-Tc'×14개)은 도요타 차량센터로 전속되어 115계를 대체할 예정이었다.[91] 잉여가 되는 사하 211형 28량은 폐차될 예정이었다.

5. 1. 5. 나가노 지구

2006년 3월 JR 동일본은 우쓰노미야선·다카사키선 우에노역 발착 열차의 그린차(특실) 연결율을 100%로 하는 것을 결정했다. 211계 중 그린샤를 조성하지 않은 편성은 부속 편성으로 운용되었고, 이 외에도 113계 교체에 따른 전용 등으로 대폭 변경되었다.

그린샤 연결 편성은 10량×17편성(170량)이었으며, 3000번대 34량이 그린샤 조입 편성에 사용되었다. 추가로 부속편성 17편성을 제외하면 211계 잉여분은 증비된 E231계와 같은 수인 110량(5량×22편성)이었다. 이 중 70량(5량×14편성)은 보소 지구 각 노선의 113계 교체용으로 마쿠하리 차량센터에 전용되었다. 나머지 40량은 우쓰노미야선·다카사키선의 수송력 증강에 투입되었다. 2006년 7월 다이어 개정에서는 우에노구의 15량 운용 증가로 우쓰노미야역 - 구로이소역 구간(일부 고가네이역 - 구로이소역 구간)에서 운용되던 E231계 5량 운용이 211계 5량 운용(일부 5량+5량 운용)으로 변경되었다.

전용 편성은 전면 종별 표시기를 LED에서 막식으로 복원(일부)[87]하고 차체 도색을 변경한 후, 오미야 종합차량센터 등에서 2006년 8월 이후 차례차례 출장했다. 마쿠하리 차량센터 소속 113계의 차체색이나, 가마쿠라 차량센터 소속 E217계의 띠색인 크림 1호와 파랑 15호의 투톤 컬러(스카색)와는 달리, 255계·E257계 500번대와 같은 황색에 진하지 않은 파랑인 '치바색'으로 불렸다. 편성 번호는 마리 401 - 414로 부여되어 2006년 10월 21일부터 운용을 개시했다.

노선 컬러에 의한 행선 표시는 113계가 행선지인 반면, 211계는 선두차 전면 상부가 노선을, 측면 상부에는 노선을 위에, 행선을 아래에 표시했다. 전용 후에도 반자동 스위치는 남겨진 채로 2006년 12월 2일부터는 치바 역이나 소가역을 제외하고 역에서의 정차 시간이 5분 이상인 경우에 한정하여 출입문 옆 반자동문 스위치를 연중 사용하고 있다.

2007년 11월부터 일부 편성에서 집전 효율을 올리는 목적으로 팬터그래프를 2개로 증설하는 개조를 실시하였다.[88] 증설된 팬터그래프는 싱글암식이며, 전후로 다른 형태가 되었다. 이 팬터그래프 증설에 사용된 부품은 주오선 201계의 폐차 발생품이다. 이 개조는 마리 402 - 마리 408·마리 410의 8편성에 실시되어 개조 후에는 마리 501 - 마리 508로 편성 번호가 변경되었다. 또한 마리 409·마리 411 - 마리 414에 관해서는 편성 번호를 채우는 움직임으로 마리 404 - 마리 408으로 변경되었다. 그 후 2008년 2월부터는 마리 403 편성을 시작으로 반자동문 스위치가 E233계 형태로 교체되었다.[89]

게이힌 도호쿠선에서 전용되는 209계 2000·2100번대의 도입에 의해 2011년도 말까지 113계와 함께 교체될 예정이었으며,[90] 이로 인해 발생한 차량 중 사하 211형을 제외한 42량(Mc-M'-Tc'×14개)은 도요타 차량센터에 전속하여 115계를 교체할 예정이었다.[91] 잉여가 되는 사하 211형 28량은 폐차될 예정이었다.

5. 2. JR 도카이

일본국유철도가 1985년에 설계하여 1986년부터 민영화 이후인 1991년까지 여객용 차량을 제조한 직류 전동차이다.

1986년 11월 시간표 개정 당시, 나고야 지구에서 117계를 6량 편성에서 4량 편성으로 변경하여 도카이도 본선 쾌속 증편이 실시되었다.[21] 이때, 증편분의 차량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0번대 4량 편성(McM'TTc') 2편성이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제조되었다.[21]

등장 초기에는 도쿄 지구용과 달리, 선두차의 전기 연결기와 자동 해결 장치가 설치되지 않았고(대신 점퍼 잭을 장비. 이 때문에 도쿄 지구용과는 스커트 주변의 제작에 차이가 있다), 외장은 도카이 지구의 이미지 컬러[21]인 파란색 띠에 흰색 핀스트라이프를 넣은 독자적인 컬러였다. 이후, 해당 차량을 인수한 JR 도카이의 코퍼레이트 컬러가 오렌지색이 되면서, 1988년에 다른 차량과 같은 쇼난색 띠로 변경되었다. 이와 동시에 전기 연결기와 자동 해결 장치도 설치되었다.

서비스 개선의 관점에서, 차장 스위치의 장착 위치를 변경하고, 운전실 후면 창을 확대했다.[15]

민영화 후에는 JR 도카이에 계승되었고, 그 후의 증편이 롱 시트 차량인 5000번대 차량으로 이행되었기 때문에, JR 도카이가 소유한 211계에서는 8량만 세미 크로스 시트 차량이 되었다. 또한, 쿠모하 211형 0번대는 이 2개 편성만 존재한다.

0・2000번대의 구조를 기본으로 도호쿠 본선(1990년 이후는 우쓰노미야선으로 안내)과 다카사키선의 사용에 배려한 한랭지 사양 차량으로, 115계 비냉방 차량의 교체용으로 등장했다. 1000번대는 세미 크로스 시트 차량, 3000번대는 롱 시트 차량으로, 모두 스노우 플라우(제설기), 내설 브레이크, 반자동문, 레일 히터 등의 내한 내설 장비가 갖춰져 있다. 앞서 언급한 0・2000번대보다 빠른 1986년 2월 18일부터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14]

신제작 당시 나고야 지구용 0번대 차량은 신료 차량구(당시 신료 전차구)에 배치되었지만, 영업에 제공되는 것은 도카이도 본선뿐이었고, 주오 본선(나고야 지구)에서의 운용은 입출고 회송에만 그쳤기 때문에, 1989년에 오가키 차량구(당시 오가키 전차구)로 전출되었다.

1989년 7월의 가나야마 종합역 개업에 따른 시간표 개정에서는, 동시에 신설된 신쾌속에 311계나 117계와 함께 211계 0번대가 충당되었다. 다음 해 시간표 개정으로 311계가 추가 투입되었기 때문에 신쾌속 운용에서는 1년도 안 되어 철수했지만, 2000년부터 313계 5000번대가 등장하는 2006년 8월까지 토요일, 공휴일의 상행 1편만 신쾌속을 담당했다.

2007년 이후에는 가케가와역・하마마츠역 - 도요하시역 간의 보통 열차를 중심으로 운용되었고, 311계와의 병결 운용도 존재했지만, 2011년 3월 시간표 개정에서는 도요하시역・오카자키역 - 기후역 간 또는 오가키역 - 마이바라역 간의 보통 열차를 중심으로 운용하게 되었고, 2006년 이후 5년 만에 신쾌속의 운용이 부활했지만, 도요하시역 이동의 운용은 소멸되었다. 또한, 검사 입장에 따른 대행은 311계로 이루어졌다.

2011년 9월에 0번대가 다시 신료 차량구로 전속되어, 간사이 본선에서 아침과 저녁 이후의 열차에 운용되게 되었다. 주오 본선에서는 이른 아침과 야간에 신료 차량구로의 입출고 회송을 겸한 1왕복 운용이 2014년 3월 개정까지 존재했지만, 이후는 신료 차량구로의 회송 열차만 입선하고 있다. 120km/h 운전에 대응하기 때문에 대행에는 313계 1000・1100번대가 사용되지만, 313계가 검사 이탈로 대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211계 5000번대가 사용된다.

JR 도카이에서는 2010년부터 2012년에 걸쳐 313계가 증비되어, 국철 시대에 제조된 117계 등을 대체했지만, 마찬가지로 국철 시대에 제조된[64] 0번대는 2022년 3월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315계로의 교체[65]에 따라, 2022년 3월 6일로 운용을 종료하고, 다음 날 3월 7일에 폐차 회송되었다.[66]

최성기에는 3량 편성 31개, 2량 편성 18개 총 111량이 재적했으나, 2022년 3월부터의 313계 전입 및 2024년 5월부터의 315계 신제 배치에 따라 교체가 진행되고 있다.

2023년 10월 1일 현재, JR 도카이에는 5000번대, 5600번대, 6000번대 차량이 신료 차량구와 시즈오카 차량구에 소속되어 운용되고 있다.[60] 2022년부터 본 형식을 대체하기 위해 315계 도입이 시작되었으며, 2025년도까지 전 차량 은퇴가 예정되어 있다.[61][62][63]

2024년 3월 20일과 22일에는 JR 센트럴이 총 5개 편성의 211-5000계 3량 편성 열차를 산기 철도에 양도했다.[4][5]

2019년 12월의 211-5000계

5. 2. 1. 개요

211모하
210사하
211사하
211쿠하
210-쿠모하
211모하
210사하
211사하
211쿠하
210-쿠모하
211모하
210사하
211사하
211쿠하
210신편성쿠모하
211모하
210사하
211사하
211쿠하
210-쿠모하
211모하
210사하
211사하
211쿠하
210-사로사로-쿠모하
211모하
210쿠하
210



E231계 그린차에 도입된 것과 같은 그린차 Suica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 전 좌석 상부에 Suica를 터치하기 위한 리더/라이터가 설치되었다.

그린차 편입으로 편성에서 제외되어 남은 사하 211형 3000번대 34량은 모두 폐차되었으며, 2006년 5월 30일에 4량, 6월 14일에 6량, 7월 9일·23일과 8월 8일에 각각 8량씩 나가노 종합차량센터로 회송되어 해체되었다.

폐차·해체된 사하 211형 3000번대는 다음과 같다.

같은 시기 료모선 마에바시 - 마에바시오시마 사이 건널목 사고로 측면이 크게 파손된 쿠하 210-3013의 복구를 위해 폐차된 사하 211형 차체의 일부분을 잘라내 재사용했다.[86]

211계의 총 량수는 113계 2층 그린차 34량(사로 125형 5량·사로 124형 29량)을 개조 편입했기 때문에, 사하 34량이 폐차된 후에도 변하지 않았다.

5. 2. 2. 0번대

도카이도 본선용 211계 그린차의 전면 2층화로 남게 된 단층+2층(사로 211+사로 212×6조, 사로 210+사로 213×6조) 12조 24량과, 도카이도 본선에서 운용하던 113계가 E231계로 교체되면서 남은 사로 125형 1량·사로 124형 9량(합계 34량)을 활용하여 우쓰노미야선, 다카사키선용 211계에도 그린차를 연결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기존의 5량 편성을 2개 연결하고, 중간의 사하 2량을 빼낸 후 1등차 2량을 양쪽 편성이 마주보는 선두차 사이에 연결하는 조성 변경을 실시했다. 이는 관통 편성으로 만들 경우 편성을 통째로 방향 전환해야 하고, 211계의 경우 보통차의 부수차인 사하에는 화장실이 없어 관통 편성으로 만들 경우 사하에 화장실 설치 공사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그린차 연결은 3000번대 편성 34개를 사용하여 실시되었으며, 2006년 9월까지 10량 기본 17편성이 조성되었다. 등장 초기에는 승무원실에 기존의 편성 번호표와 새로운 편성 번호표를 함께 두었지만, 17편성이 모두 갖춰진 후 기존 편성 번호표는 제거되었다.[86]

당초 1000번대 편성도 조성 변경을 할 예정이었지만, 1편성당 정원이 다르고, 이후 E231계 투입 계획 변경에 따라 다른 지역(보소 지구·니가타 지구)으로 전출될 예정이었기 때문에 조성 변경 계획은 취소되었다. 2008년 기준으로 1000번대 편성은 주로 부속 편성으로 사용되고 있다.

0번대 조성 변경
←쿠로이소·우쓰노미야/마에바시·다카사키
우에노→
구편성쿠모하 211모하 210사하 211사하 211쿠하 210-쿠모하 211모하 210사하 211사하 211쿠하 210-쿠모하 211모하 210모하 210사하 211사하 211쿠하 210
신편성쿠모하 211모하 210사하 211사하 211쿠하 210-쿠모하 211모하 210사하 211사하 211쿠하 210-사로사로-쿠모하 211모하 210쿠하 210



E231계 그린차에 도입된 것과 같은 그린차 Suica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 전 좌석 상부에 Suica를 터치하기 위한 리더/라이터가 설치되었다.

그린차 편입으로 인해 편성에서 제외되어 남은 사하 211형 3000번대 34량은 모두 폐차되었으며, 2006년 5월 30일에 4량, 6월 14일에 6량, 7월 9일·23일과 8월 8일에 각각 8량씩 나가노 종합차량센터에 회송되어 해체되었다.

폐차·해체된 사하 211형 3000번대는 다음과 같다.

폐차된 사하 211형 3000번대
제조년차량 번호
1986년 (24량)사하 211-3003・3004・3007・3008・3011・3012・3015 - 3018・3021・3022・3025・3026・3029・3030・3033 - 3038・3043・3044
1990년 (4량)사하 211-3097・3098・3101・3102
1991년 (6량)사하 211-3111・3112・3115・3116・3119・3120



같은 시기에 료모선 마에바시 - 마에바시오시마 사이 건널목 사고로 측면이 크게 파손된 쿠하 210-3013을 복구하면서 폐차된 사하 211형 차체의 일부분을 잘라내 재사용했다.[86]

211계의 총 량수는 113계 2층 그린차 34량(사로 125형 5량·사로 124형 29량)을 개조 편입했기 때문에, 위에서 언급한 사하 34량이 폐차된 후에도 변하지 않았다.

5. 2. 3. 5000, 6000번대

도카이도 본선용 211계 그린차(1등차)의 전면 2층화로 남게 된 1층+2층(사로 211+사로 212) 객차 12조 24량과, 도카이도 본선에서 운용되던 113계가 E231계로 교체되면서 남은 사로 125형 1량·사로 124형 9량(합계 34량)을 활용하여 우쓰노미야선·다카사키선용 211계에도 그린차를 연결하게 되었다.

기존 5량 편성을 2개 연결하고, 중간의 사하 2량을 빼낸 후 1등차 2량을 양 편성이 마주보는 선두차 사이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조성 변경을 실시했다. 이는 관통 편성으로 만들 경우 편성을 통째로 방향 전환해야 하고, 211계 보통차의 부수차(사하)에는 화장실이 없어 관통 편성 시 사하에 화장실 설치 공사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그린차 연결은 3000번대 편성 34개를 사용하여 실시되었으며, 2006년 9월까지 10량 기본 17편성이 조성되었다. 등장 초기에는 승무원실에 기존 편성 번호표와 새로운 편성 번호표를 모두 부착했지만, 17편성이 모두 갖춰진 후 기존 편성 번호표는 제거되었다.

당초 1000번대 편성도 조성 변경에 사용할 예정이었으나, 1편성당 정원 차이와 E231계 투입 계획 변경으로 다른 지역(보소 지구·니가타 지구)으로 전출될 예정이라 조성 변경 계획은 취소되었다. 1000번대 편성은 2008년 기준으로 주로 부속 편성으로 사용되었다.

211계 신구 편성 비교
구분차량 번호설명
구편성쿠모하 211
모하 210
사하 211
사하 211
쿠하 210-
rowspan="5" |쿠모하 211
모하 210
사하 211
사하 211
쿠하 210-
rowspan="5" |쿠모하 211
모하 210
사하 211
사하 211
쿠하 210
신편성쿠모하 211
모하 210
사하 211
사하 211
쿠하 210-
쿠모하 211
모하 210
사하 211
사하 211
쿠하 210-
사로그린차
사로그린차
쿠모하 211
모하 210
쿠하 210



E231계 그린차에 도입된 것과 같은 그린차 Suica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 전 좌석 상부에 Suica를 터치하기 위한 리더/라이터(판독기)가 설치되었다.

그린차 편입으로 인해 편성에서 제외되어 남은 사하 211형 3000번대 34량은 모두 폐차되었으며, 2006년 5월 30일에 4량, 6월 14일에 6량, 7월 9일·23일과 8월 8일에 각각 8량씩 나가노 종합차량센터로 회송되어 해체되었다.

폐차·해체된 사하 211형 3000번대는 다음과 같다.

폐차 및 해체된 사하 211형 3000번대 목록
제조년도차량 번호
1986년사하 211-3003・3004・3007・3008・3011・3012・3015 - 3018・3021・3022・3025・3026・3029・3030・3033 - 3038・3043・3044
1990년사하 211-3097・3098・3101・3102
1991년사하 211-3111・3112・3115・3116・3119・3120



같은 시기 료모선 마에바시 - 마에바시오시마 사이 건널목 사고로 측면이 크게 파손된 쿠하 210-3013을 복구하면서, 폐차된 사하 211형 차체의 일부를 잘라내 재사용했다.[86]

211계 총 량수는 113계 2층 그린차 34량(사로 125형 5량·사로 124형 29량)을 개조 편입했기 때문에, 위에서 언급한 사하 34량이 폐차된 후에도 변하지 않았다.

5. 3. JR 서일본

JR 서일본에서는 211계 및 213계 객차를 개조한 3량 편성인 '슈퍼 샐룬 유메지'를 1988년에 운행을 시작하여 2010년 3월까지 운행하였다. 이 열차는 오카야마 차량소에 배치되었다.[77][78][79][80]

5. 3. 1. 슈퍼 살롱 '유메지'

1988년에 운행을 시작하여 2010년 3월에 퇴역한 213계 객차를 개조한 3량 편성이다. JR 서일본에서 운행했으며 오카야마 차량소에 배치되었다.[77][78][79][80] 0・2000번대의 구조를 기본으로 도호쿠 본선(1990년 이후는 우쓰노미야선으로 안내)과 다카사키선의 사용에 배려한 한랭지 사양 차량이다.

내부 모습, 2003년 9월


2003년 9월 30일까지 쾌속 "마린 라이너"로 오카야마역 - 다카마쓰역 간에 사용되었으나,[75][76] 2003년 10월 1일에 쾌속 "마린 라이너"가 223계 5000번대 및 시코쿠 여객철도(JR 시코쿠)의 5000계로 대체되면서 운행이 종료되었다.

"유메지" 편성은 세토 대교선 개업 당시 황태자황태자비 부부를 태우고 운행한 실적이 있다.

1997년 3월에는 전 차량 리뉴얼 공사가 시행되었다. 그 후, 오카야마 전차구에 소속되어 단체 전용 열차 등으로 사용되었으며, 특히 매년 1월 1일에는 오카야마역 - 고토히라역 간에 "곤피라 새해 첫 참배호"로 운행되었다.

2010년 3월 7일에 오카야마역 - 오노우라역 간에 실시된 고별 운전 "파이널 런 작별! 슈퍼 살롱 유메지호" 운행을 마지막으로 영업 운전을 종료하고, 같은 해 4월 14일에 스이타 공장으로 회송되어, 같은 해 6월 30일자로 폐차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上越線・吾妻線で211系の営業運転開始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6-08-24
[2] 간행물 10/21, 房総211系, 営業運転開始 2007-01
[3] 웹사이트 飯田線での長野色115系運用終了,211系運用開始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4-03-15
[4] 웹사이트 211系5600番代2本が三岐鉄道へ https://railf.jp/new[...] Koyusha Co., Ltd. 2024-03-21
[5] 웹사이트 211系5600番代,さらに3本が三岐鉄道へ https://railf.jp/new[...] Koyusha Co., Ltd. 2024-03-23
[6] 논문 ホーム検知装置の開発 http://www.jreast.co[...] 2022-02-04
[7] 간행물 211・213系近郊形電車のあゆみ
[8] 문서 鉄道ピクトリアル2012Dec 2012
[9] 간행물 211・213系近郊形電車のあゆみ
[10] 문서 JR東日本719系電車、JR四国6000系電車など
[11] 간행물 211・213系近郊形電車のあゆみ
[12] 서적 形式211系 イカロス出版
[13] 간행물 211・213系近郊形電車のあゆみ
[14] 간행물 特集 '86年春の新型車両 鉄道ジャーナル社 1986
[15] 간행물 MODELERS FILE「最後の国電新製車211系」 エリエイ
[16] 문서 鉄道ピクトリアル2012Dec 2012
[17] 문서 鉄道ピクトリアル2012Dec 2012
[18] 간행물 JR車両ファイル 2012 交友社 2012-07
[19] 간행물 RAILWAY TOPICS 鉄道ジャーナル社 2012-07
[20] 뉴스 『ありがとう211系電車で行く“急行 伊豆”の旅』開催 http://railf.jp/news[...] 交友社 2012-05-18
[21] 간행물 61-11ダイヤ改正 交友社 1986-12
[22] 서적 須田寬の鉄道ばなし 鉄道営業近代化への挑戦 JTBパブリッシング
[23] 뉴스 鉄道写真ニュース 第48回 JR東日本の「湘南色」211系、宇都宮線は全車置換えへ https://news.mynavi.[...] 2022-02-07
[24] 간행물 2019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高崎支社 2022-02-07
[25] 문서 JR東海 モデルチェンジした211系5000番台 交友社 1988-09
[26] 문서 211系5000代の概要 交友社 1988-11
[27] 문서 JR東海の新211系(5000代)電車 日本鉄道車輌工業会 1989-02
[28] 간행물 211・213系近郊形電車のあゆみ
[29] 문서 鉄道ピクトリアル2012Dec 2012
[30] 문서 JR東海 モデルチェンジした211系5000番台 交友社 1988-09
[31] 문서 1988年 総集編 東洋電機製造 1989-08
[32] 문서 当時K1、K2は0番台に使用されていたため、欠番している。1989年にK1、K2編成は大垣電車区に転属したため、2次車では埋めるために新たなK1、K2編成が製造された。
[33] 문서 後に改番
[34] 문서 後に改番
[35] 서적 JR気動車客車情報 89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989-08-01
[36] 간행물 鉄道車両年鑑2005年版「JR東日本サロ213・212形100番代、1000番代」 鉄道図書刊行会
[37] 간행물 2008
[38] 간행물 2008
[39] 문서
[40] 학술지 JR車両ファイル2013 交友社 2013-07
[41] 보도자료 2013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jreast.c[...] JR東日本長野支社 2012-12-21
[42] 학술지 交友社 2013-03
[43] 학술지 交友社 2014-07
[44] 학술지 211系長野車運転開始へ 네코・퍼블리싱 2013-05
[45] 학술지 交友社 2009-02
[46] 학술지 いちぶんのいち情報室 エリエイ
[47] 서적 JR電車編成表 2024冬 交通新聞社 2023-11-17
[48] 학술지 交通新聞社 2015-05-20
[49] 보도자료 「のって楽しい♪いって楽しい♪両毛線再発見」 〜線路は続くよ♪地域をつなぐプロジェクト〜 両毛線沿線価値向上に向けた取り組みを推進します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高崎支社 2022-02-07
[50] 서적 JR電車編成表 2023冬 交通新聞社 2022-11-21
[51] 서적 JR電車編成表 2024冬 交通新聞社 2023-11-17
[52] 학술지 JR旅客会社の車両配置表 交友社 2014-07
[53] 학술지 交通新聞社 2014-05-30
[54] 학술지 CAR INFO「長野地区向け211系」 交友社 2013-05
[55] 보도자료 2014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長野支社 2022-02-07
[56] 학술지 交通新聞社 2016-05-19
[57] 간행물 交友社 2013
[58] 웹사이트 JR東日本長野支社プレスリリース http://www.jreast.co[...]
[59] 서적 JR電車編成表2025冬 交通新聞社 2024
[60] 서적 JR電車編成表 2024冬 交通新聞社 2023-11-17
[61] 서적 JR電車編成表 2023冬 交通新聞社 2022
[62] 서적 JR電車編成表 2023夏 交通新聞社 2023-05-18
[63] 서적 JR電車編成表 2024冬 交通新聞社 2023-11-17
[64] 문서
[65] 보도자료 在来線通勤型電車「315系」運転開始について https://jr-central.c[...] 東海旅客鉄道 2022-02-07
[66] 뉴스 JR東海211系0番台K51編成・K52編成が西浜松へ https://railf.jp/new[...] 2022-03-10
[67] 서적 JR電車編成表 2022冬 交通新聞社 2023-11-17
[68] 뉴스 神領車両区所属211系0番台(K51,K52編成)に惜別編成札 https://railf.jp/new[...] 2022-03-02
[69] 뉴스 211系が武豊線に入線 https://railf.jp/new[...] 2017-10-09
[70] 문서
[71] 문서
[72] 뉴스 211系5600番代2本が三岐鉄道へ https://railf.jp/new[...] 2024-03-21
[73] 뉴스 211系5600番代,さらに3本が三岐鉄道へ https://railf.jp/new[...] 2024-03-23
[74] 뉴스 武豊線に211系が入線 https://railf.jp/new[...] 交友社 2022-02-07
[75] 간행물 冬季臨時列車の運転(別紙詳細)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岡山支社 2004-10-15
[76] 간행물 冬季臨時列車の運転について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岡山支社 2009-10-16
[77] 간행물 さよなら「スーパーサルーンゆめじ運転終了セレモニー」実施について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 2010-02-22
[78] 뉴스 「ファイナルラン さよなら!スーパーサルーンゆめじ号」運転 https://railf.jp/new[...] 2022-02-07
[79] 뉴스 「スーパーサルーンゆめじ」が吹田工場へ https://railf.jp/new[...] 交友社 2022-02-07
[80] 간행물 交通新聞社 2010-12
[81] 간행물 三岐線用車両譲受について https://sangirail.co[...] 三岐鉄道 2024-07-01
[82] 웹사이트 地球環境保全への貢献 https://company.jr-c[...] 2023-11-29
[83] 문서
[84] 문서
[85] 문서
[86] 문서
[87] 문서
[88] 문서
[89] 문서
[90] 웹인용 JR 동일본 프레스 릴리스 http://www.jrchiba.j[...] 2010-10-09
[91] 문서
[92] 문서
[93] 문서
[94] 문서
[95] 문서
[96] 문서
[97] 문서
[98] 문서
[99] 서적 JR 전동차 편성표 2011 겨울 교통 신문사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